임대료, 재료비, 인건비, 배달 수수료 모조리 올라 폐업 위기
“1만5000원어치 배달 주문 한 건을 받았다고 칩시다. 먼저 ‘쿠팡이츠’에 중개 이용료로 음식값의 9.8%와 배달비 2900원을 더해 총 4370원을 내야 해요. 거기에 신용카드 수수료 3%(450원)도 붙죠. 요즘 재료비는 판매 가격의 35% 선으로 상승했으니, 5250원가량이 재료비로 나갑니다. 이 비용들을 제하면 1만5000원에서 4930원이 남아요. 이게 끝이 아니에요. 매달 가게 임차료와 수도요금·관리비 773만 원, 직원 7명 인건비로 2000만 원 이상, 배달앱(애플리케이션) 광고비 35만2000원도 들어가요. 대체 음식을 얼마나 많이 팔아야 가게를 유지할 수 있는 건지….”
“외환위기, 코로나19 팬데믹 때보다 상황 더 나빠”
7월 15일 오후 7시 서울 송파구 잠실동 먹자골목이 저녁시간인데도 한산한 모습이다. [임경진 기자]
주요 상권에서 이틀간 점심과 저녁 식사시간 식당 모습을 지켜봤지만 손님 발길이 뜸한 곳이 대부분이었다. 7월 15일 점심시간에 찾은 송파구 잠실동 한 고깃집에는 4인용 테이블 14개 중 1개에만 손님 2명이 앉아 있었다. 이 식당 사장인 50대 A 씨는 “손님들이 얇아진 지갑 탓에 외식을 줄였는지 10번 오던 단골손님이 5번만 온다. 매출이 코로나19 사태 이전과 비교해 70%에 그친다”고 말했다. 2022년 4월 즈음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한 매출이 반년가량 이어지다가 지금까지 쭉 하향 곡선이라는 게 A 씨의 설명이다. 재료비와 인건비 상승, 대출이자 부담까지 감안하면 코로나19 팬데믹 때보다 지금 사정이 더 나쁘다고 했다. 같은 날 정오 서울시청 인근 지하상가의 한 라면집은 점심시간임에도 손님이 한 명도 없었다. 40년 동안 이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신모 씨(79)는 “원래 점심은 물론, 오후에도 간식을 먹으러 오는 손님이 많았는데 요즘은 그렇지 않다”며 “여태 장사하면서 이렇게 손님이 없는 것은 처음이다. 이제 장사를 접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핫플’ 성수동, 매년 임대료 10% 인상에 폐업 속출
초복(7월 15일) 특수도 실종됐다. 초복을 맞은 노원구 공릉동의 삼계탕 가게들은 한산한 모습이었다. 이곳의 한 ‘닭한마리’ 가게는 최근 기존에 없던 직원 브레이크 타임이 생겼다. 매출이 지난해보다 20% 급감할 정도로 손님이 줄었기 때문이다. 식당 직원은 “일하다가 한숨 돌릴 수 있게 됐지만, 이게 좋은 건지 잘 모르겠다”며 어깨를 으쓱했다. 복날에도 이렇다 할 매출 신장이 없자 가게 사장들은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안모 씨(60)는 초복을 맞아 아들과 함께 하루 연차를 내고 아내의 삼계탕 장사를 도우러 왔다. “예년 복날에는 삼계탕이 하루 1000그릇도 팔렸지만, 최근에는 600~700그릇 팔리는 데 그친다. 인건비와 재료비 모두 올라 사람을 새로 쓰기보다 가족이 돕는 게 낫다”는 게 안 씨의 설명이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한 분식집 사장이 기자에게 음식 배달 건당 배달앱 중개 이용료와 배달비, 신용카드 수수료 등을 계산해 보여준 메모(왼쪽)와 서울지하철 1·2호선 시청역 인근 한 고깃집 정문에 붙은 ‘1주년 감사 이벤트 소주 3000원, 맥주 3000원 판매’ 안내문. [임경진 기자, 전혜빈 기자]
7월 12일 서울 성동구 성수동 ‘갈비골목’의 한 식당 건물이 폐점 후 헐려 있다. [윤채원 기자]
“‘○리단길’ 같은 이름 짓지 말고 임차료 줄여달라”
급감한 매출에 자영업자들은 업종을 바꾸는 등 궁여지책을 내고 있다. 서울지하철 6호선 태릉입구역에서 7호선 공릉역까지 이어지는 공릉로 일대 상권을 살펴보니, 상가 25곳 중 5곳에 배달 전문 소형 가게와 무인점포가 입점해 있었다. 임차료와 인건비 부담이 커지자 자영업자들이 가게 면적을 줄이거나 무인화하고 있는 것이다. 도봉구 쌍문동에서 찜닭 가게를 운영하다 최근 밀키트 전문점으로 전업한 60대 박모 씨는 “찜닭 판매로는 적자를 면치 못해 폐업까지 생각하다가 가게 규모를 절반으로 줄이고 반찬 밀키트를 팔고 있다”고 말했다.
자영업자들은 가게 규모와 직원을 줄이는 등 허리띠를 졸라매는 것만으로는 역부족이라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지자체)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닭강정 가게 사장 D씨는 “지자체가 ‘?리단길’ 같은 이상한 이름을 지으면 괜히 임차료만 올라간다. 차라리 정부나 지자체가 임차료 부담을 줄일 방법이나 마련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주간동아 1449호에 실렸습니다〉
윤채원 출판국 기자 ycw@donga.com
임경진 출판국 기자 zzin@donga.com
전혜빈 출판국 기자 heavin012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