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딤돌·버팀목 등 정책성 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수요가 가라앉지 않자 정부가 정책 상품의 금리 조정에 나섰다. 적은 금액을 대출받거나 빠르게 상환하면 더 나은 조건의 금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들은 이 같은 내용의 국토교통부 지침에 따라 31일부터 디딤돌·버팀목 대출 금리 산정 방식을 조정한다.
우대금리 항목이 신설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버팀목 대출의 경우 대출한도의 30% 이하로 대출을 신청하면 0.2%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디딤돌 대출 역시 대출한도의 30% 이하로 신청 시 0.1%포인트의 우대금리가 적용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서민들에게 대출을 적게 받으라는 식의 금리 체계 개편은 상당히 이례적”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버팀목 대출의 경우 기한 연장 시점에 대출금을 10% 이상 상환하지 않는다면 0.1%포인트의 가산금리가 부과됐는데, 해당 요건이 0.2%포인트 가산으로 변경된다. 3회차 연장부터는 소득을 재심사해 금리를 다시 판정하고 소득기준을 초과할 경우 임차보증금 기준의 최고금리에서 0.3%포인트가 더해진다.
정부가 정책성 대출을 관리하려는 것은 해당 상품이 최근 가계대출 증가분의 상당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지난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6조3000억 원 늘었는데, 이 중 3조8000억 원이 디딤돌·버팀목 대출에 해당했다.
김수연 기자 sye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