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어린이 1명당 노인 1.7명… 내국인 인구 감소, 외국인이 메워

입력 | 2024-07-30 03:00:00

65세 이상 고령자 1000만명 육박
열집중 한집은 독거노인 가구
작년 외국인 18만명 증가 역대 최다
인구수 3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





지난해 어린이 1명당 노인 수가 1.71명까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8년 전만 해도 어린이 1명당 노인은 1명이 안 됐다. 0∼14세 유소년 인구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를 뜻하는 노령화지수 상승 폭은 2018년부터 매년 커지며 고령화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그나마 지난해 외국인이 사상 최대 폭으로 늘며 한국에 사는 인구 수는 2020년 이후 처음으로 반등했다. 특히 20, 30대 외국인이 1년 전보다 10% 넘게 증가하며 전체 외국인 인구의 절반을 넘겼다. 고령화로 한국 경제가 활력을 잃고 있는 만큼 외국인들이 한국 사회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문화와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10가구 중 1가구는 홀몸노인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노령화지수는 171.0명으로 1년 전보다 14.9명 증가했다. 이는 우리나라 유소년 1명당 노인 수가 1.71명이라는 뜻이다. 노령화지수는 2015년만 해도 95.2명에 그쳤다. 2016년(100.1) 처음으로 100을 넘어선 노령화지수는 2018년부터 매년 전년 대비 상승 폭이 커지고 있다. 2018년과 비교하면 57.1명 증가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00만 명에 육박했다.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는 960만9000명으로 전년보다 46만2000명 늘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하는 65세 이상 인구 수인 노년부양비는 26.3명으로 불었다. 반면 지난해 0∼14세 인구는 561만9000명으로 전년보다 24만1000명(4.1%) 감소했다. 인구 고령화의 영향으로 전체 인구 중 중위 연령은 전년보다 0.6세 상승한 45.7세로 집계됐다.

고령자 1인 가구도 213만8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9.7%를 차지했다. 열 집 중 한 집은 혼자 사는 노인인 셈이다. 홀몸노인 가구는 1년 전보다 8.3% 늘었고, 고령자만 있는 가구도 7.2% 증가했다.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35.5%였다. 김서영 통계청 인구총조사 과장은 “고령화와 가구 분화 등으로 혼자 사는 가구가 늘어나 1인 가구 비중은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 총인구 3년 만에 증가, 외국인이 견인

지난해 내국인과 외국인을 합한 총 인구는 5177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8만2000명(0.2%) 늘어난 규모다. 총 인구는 2021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했다가 3년 만에 늘어났다.

내국인은 4983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1000명(0.2%) 줄었다. 내국인은 2021년부터 매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외국인은 193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18만3000명(10.4%) 증가했다. 증가 규모로는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다. 외국인은 국내에서 3개월 넘게 체류했거나 3개월 이상 체류할 목적으로 입국한 이들을 뜻한다. 다문화 가구는 41만6000가구였다. 1년 전보다 1만6000가구(4.1%) 늘었고, 2018년과 비교하면 5년 새 8만1000가구(24.1%) 증가했다.

외국인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30대가 54만1000명으로 전체의 28.0%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20대가 47만 명(24.3%)으로 뒤를 이었다. 전체 외국인 가운데 20, 30대가 절반이 넘는 셈이다. 젊은층을 중심으로 외국인 인구가 늘고 있는 건 최근 정부가 장려하고 있는 외국인 비전문취업(E-9)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2021년 1만2000명이었던 비전문취업 입국자는 2022년 8만7000명으로 급증했고, 지난해에도 9만1000명으로 늘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한국도 선진국들처럼 젊은 외국인이 이른바 ‘3D 업종’을 포함한 여러 산업 전선에서 일하며 한국의 잠재성장률 하락을 늦추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외국인 증가는 불가피한 만큼 그 비중은 점차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영태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장은 “단순히 숫자만 늘리기보다 외국인 중 어떤 사람이, 어떤 일을 하는지가 중요하다”며 “사회적, 생산적 기여를 따져 계획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민을 받기 위해선 이를 담당할 이민청 설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종=이호 기자 number2@donga.com
세종=소설희 기자 facth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