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성향이 다르면 TV 뉴스를 보다가도 싸울 텐데, 같이 살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경기 안양시에 사는 직장인 이모 씨(33)는 “결혼한다면 정치적 성향이 같은 배우자와 할 생각”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이 씨는 “친구들도 정치 성향이 다른 상대와는 굳이 술자리를 같이 하지 않고 어쩌다 같이 식사를 하더라도 정치 얘기는 꺼내지 않으려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국민 중 이 씨처럼 ‘정치 성향이 다르면 연애나 결혼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5명 중 3명 가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 DB
응답자 중 33%는 “정치 성향이 다른 친구 및 지인과의 술자리를 할 수 없다”고 답했다. 이 역시 여성(36.9%)이 남성(28.6%)보다, 노인(41.9%)이 청년(28%)보다 정치성향이 다른 사람과 어울리려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92.3%는 사회적 갈등 중 보수와 진보의 갈등이 가장 심각하다고 밝혔다. 이어 정규직과 비정규직 갈등(82.2%), 노사 갈등(79.1%) 등이 뒤를 이었다.
● 사회통합도, 코로나19 마무리 후 하락
사회통합이 어느 정도 이뤄지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사회통합도의 경우 응답자들은 10점 만점에 평균 4.2점을 매겼다. 과거 조사에서 사회통합도는 2018, 2019년 모두 4.17점이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직후인 2021년에는 4.59점까지 올랐다. 하지만 코로나19가 고비를 지나면서 2022년 4.31점, 2023년 4.2점으로 계속 하락하는 추세다. 보사연은 “코로나19 감염병이라는 공동의 적과 싸우는 과정에서 응집력이 생겼던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조유라 기자 jyr010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