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1만2000원 감소…"전업자 줄었다"
지난해 총 88만3000명…전년 대비 11% ↑
애로사항도…"계약에 없는 업무 요구 많아"
"공통표준계약서 기반 공정계약 정착해야"
ⓒ뉴시스
온라인 플랫폼 중개를 통해 보수를 받는 플랫폼종사자의 숫자가 지난해 11% 증가한 가운데, 월 평균 수입은 145만2000원으로 전년 대비 1만2000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플랫폼종사자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플랫폼종사자의 규모는 88만3000명으로 전년(79만5000명) 대비 11.1% 증가했다. 2021년(66만1000명)과 비교하면 33% 늘었다.
2022년 총수입은 267만3000원이었으며 플랫폼 노동 한정으로는 146만4000원이다. 총수입은 4만8000원 늘었으나 플랫폼 일자리 수입은 1만2000원 감소한 것이다. 고용부는 이를 두고 “시간 및 주업형 비율의 감소 등이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플랫폼종사자들의 월 종사일 수는 14.7일에서 14.4일로 줄었고 노동 시간도 일 6.4시간에서 6.2시간으로 줄었다.
또 전업자의 비중은 줄고 부업으로 노동을 하는 종사자의 수는 늘었다.
플랫폼 일자리 수입이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거나 주당 20시간 이상의 노동을 하는 ‘주업형’의 경우 2022년 비중이 57.7%였으나 지난해 55.6%로 줄었다.
주업과 별개로 더 많은 수입을 얻기 위해 플랫폼 노동에 종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플랫폼일자리 시작 동기를 묻는 질문에 ‘더 많은 수입’이 36.1%로 가장 많았다.
아울러 플랫폼 종사자 중 배달·운전 종사자와 가사돌봄 종사자는 최근 연이은 증가세가 꺾이며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배달운전 종사자는 2021년 50만2000명, 2022년 51만3000명으로 늘다가 지난해 48만5000명으로 집계되며 전년 대비 5.5% 줄었다.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이 끝나며 배달 수요가 감소한 것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가사돌봄 종사자도 2021년 2만8000명에서 2022년 5만3000명까지 증가했지만 지난해 5만2000명으로 1.9% 소폭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상담 등 전문서비스, 컴퓨터 단순 작업, IT 서비스 분야 종사자는 대폭 늘었다.
소프트웨어 개발 등 IT 서비스의 경우 지난해 4만1000명으로 전년(1만7000명) 대비 141.2% 증가했다. 전문서비스의 경우 지난해 14만4000명으로 전년(8만5000명)에 비해 69.4% 늘었다. 데이터 입력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 단순 작업 종사자는 지난해 8만7000명으로 전년 5만7000명과 비교하면 52.6%의 증가율을 보였다.
플랫폼종사자들은 애로사항으로 ▲계약에 없는 업무 요구(12.2%) ▲건강·안전의 위험 및 불안감(11.9%) ▲일방적 계약 변경(10.5%) 등을 꼽았다.
고용정보원은 이번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발간한 ‘플랫폼 노동시장의 변화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공통, 직종별 표준계약서에 기반한 공정한 계약 관행 정착 ▲정부 차원의 종합 지원 강화 ▲플랫폼 회사, 이용자, 정책입안자 등 관련 주체들 간 소통의 장 등을 촉구했다.
권창준 고용부 노동개혁정책관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플랫폼종사자가 앞으로도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불공정한 대우 등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는 ‘노동약자 지원과 보호를 위한 법률’ 제정을 적극 추진하고 표준계약서 마련, 쉼터 설치, 분쟁해결지원 등 종사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을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