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국가의 의미[정덕현의 그 영화 이 대사]〈20〉

입력 | 2024-08-13 22:54:00



“나라가 당신들한테 해준 게 뭐가 있어요?”

―강제규 ‘1947 보스톤’




“그게 뭐 그렇게 대단하다고. 까놓고 나라가 당신들한테 해준 게 뭐가 있어요?” 1947년 보스턴 국제 마라톤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던 서윤복 선수의 이야기를 극화한 강제규 감독의 ‘1947 보스톤’에는 그런 대사가 나온다. 어렵게 서윤복 선수와 함께 겨우 보스턴에 당도했지만 성조기 유니폼을 입고 뛰어야 한다는 협회 측 말에 분노하는 손기정 일행을 보며 현지 코디네이터가 하는 말이다. 국가가 해준 건 실로 없지만 그럼에도 손기정은 끝까지 태극기를 고집한다. 과거 일장기를 달고 시상대에 올라야 했던 그 아픔을 후배 선수들이 겪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 상황은 실제 역사와는 다르다. 실제로는 서윤복이 성조기와 태극기가 나란히 그려진 유니폼을 입고 뛰었고, 우승해 시상대에 오를 때는 협회 측이 태극기만 그려진 별도의 유니폼을 입게 해줬다고 한다. 극화된 허구지만 어쨌든 이 상황을 통해 영화는 ‘국가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묻는다.

사실 지금은 국가보다 개인의 삶이 더 중요해졌다. 따라서 TV도 없던 1947년에는, 서윤복 선수의 경기를 듣기 위해 라디오 앞에 전 국민이 모였지만, 지금은 매체가 넘쳐나도 국가 스포츠로서의 올림픽에 대한 존재감은 갈수록 작아지고 있다.

이번 파리 올림픽도 마찬가지였지만, 애초 금메달 5개 목표를 두 배 이상 뛰어넘는 선수 개개인들의 선전으로 ‘대한민국∼’을 외치는 풍경들이 새삼스레 등장했다. 과거처럼 국가가 부르면 개인이 따르는 시대는 지났고, 그래서 국가의 의미는 갈수록 희석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국가가 만들어주는 개인의 정체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 저 손기정 선수가 겪었던 아픔을 떠올려 본다면, 올림픽 때마다 마음껏 ‘대한민국∼’을 외치는 일이 얼마나 소중한가를 절감할 수 있으니 말이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