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미국 대선] 색깔 다른 외교안보 정책 기조 둘다 후보수락연설서 ‘김정은’ 언급… 해리스, 오바마-바이든 정책 연장선 트럼프, 北-美 정상회담 재개 시사… 우크라 지원 놓고도 입장 엇갈려
‘에어포스투’ 오르는 해리스 부부 카멀라 해리스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겸 부통령(오른쪽)과 남편 더글러스 엠호프 변호사가 23일 일리노이주 시카고 오헤어 공항에서 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투’에 탑승하며 손을 흔들고 있다. 해리스 후보는 하루 전 시카고에서 열린 민주당 전당대회의 마지막 날 대선 후보 수락 연설을 갖고 본격적인 대선 유세를 시작했다. 시카고=AP 뉴시스
두 후보는 모두 대선 후보 수락 연설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언급하며 한반도 중시 기조를 보였다. 다만 대북 정책의 구체적인 면에서 완전히 상반된 태도를 보였다. 김 위원장을 ‘폭군’ ‘독재자’로 규정한 해리스 부통령은 ‘민주주의 대 독재’ 경쟁 구도 속에서 동맹 강화를 통해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할 뜻을 밝혔다. 트럼프 후보는 정상 간 담판을 통해 미국의 국익을 확보하는 ‘미국 우선주의’를 분명히 했다. 11월 5일 대선 결과에 따라 한반도 정세가 크게 출렁일 것으로 보인다.
● 해리스 “동맹” vs 트럼프 “제재”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고든 보좌관은 특히 2020년 저서 ‘장기전에서 패하다’에서 “제재, 군사 개입보다 강력한 동맹, 외교적 개입, 군축 등을 통해 문제를 관리하는 것이 미국의 이익에 부합한다”며 북한의 거듭된 도발은 제재 위주의 정책이 핵 및 미사일 확산을 막는 데 실패했음을 보여 준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후보는 지난달 18일 공화당 전당대회 대선 후보 수락연설에서 “김정은도 나를 그리워할 것”이라며 북-미 정상외교를 재개할 뜻을 밝혔다. 그가 제재 완화 및 경제 지원을 대가로 북핵 동결, 비핵화 조치를 끌어내려 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대만 방어에 대한 인식도 ‘극과 극’이다. 해리스 후보는 “대만의 자위권을 지지한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 트럼프 후보는 최근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부자 나라’ 대만이 미국에 돈을 내야 방어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식도 다르다. 해리스 후보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등과 우크라이나를 계속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한 러시아 견제가 미국의 이익에도 부합한다고 본다. 트럼프 후보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가 현재 점령 중인 영토 일부를 포기하는 조건으로 평화 협정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우크라이나 지원을 줄이고 대신 그 돈을 불법이민 증가 차단에 써야 한다고 본다.
두 후보의 집권 시 중용될 주요 참모에 대한 관심도 높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해리스 후보 집권 시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는 고든 보좌관, 크리스 머피 상원의원 등이 거론된다. 국무장관 후보로는 크리스 쿤스 상원의원, 머피 의원, 윌리엄 번스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 등이 하마평에 올랐다. 백악관 비서실장에는 미니언 무어 민주당 전당대회 조직위원회 의장, 마티 월시 전 노동장관, 에릭 홀더 전 법무장관 등이 오르내린다.
정치매체 액시오스 등은 트럼프 후보가 재집권하면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 더그 버검 노스다코타 주지사 등이 국무장관직을 두고 경쟁할 것으로 내다봤다. 트럼프 1기에 백악관 안보보좌관을 지낸 로버트 오브라이언 전 보좌관 또한 국무장관으로 거론된다.
대중 강경파 톰 코튼 상원의원은 국방장관직을 원하지만 국무장관 후보에도 올랐다고 전했다. 백악관 비서실장직에는 수지 와일스 트럼프 대선 캠프 공동 책임자, 케빈 매카시 전 하원의장 등이 경합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후보 본인은 ‘월가 황제’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등 유명 경영자 또한 내각에 등용할 가능성을 밝힌 바 있다.
이기욱 기자 71woo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