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DB
시교육청은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역사회 공유학교 모델 운영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학생과 교직원만 쓰던 학교 공간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고 반대로 학생은 돌봄센터 등 지역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골자다.
구체적으로는 학교와 지역사회 시설을 △학교 안 블록 △커뮤니티 블록 △학교 밖 블록 세 가지 공간으로 나눠 운영하기로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소규모 학교가 증가하고 지역 내 사회·문화시설 설치 및 학교시설 개방 요구도 증가했다”며 “학교와 지역사회 자원을 함께 활용하는 새로운 학교 운영 모델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시교육청은 학교와 지역 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학교 안 블록은 축소하고 커뮤니티 블록과 학교 밖 블록은 확대할 방침이다. 2008년 개교한 서울 서초구 내 매헌초에서 학생들이 체육 시간에 학교와 인접한 지방자치단체 소유 운동장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사례를 늘려나가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선 학교에 관리 인력과 보험료 지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다만 일각에선 학생과 지역 주민이 함께 시설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나 범죄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별도 출입구 등을 통해 학생과 주민 동선을 분리하고 출입 통제 시스템 등을 설계에서부터 고려해 안전 우려에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