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중국 헬스케어 앱 통한 개인정보 유출 경고 "브로커에 개인정보 매매…중국산 앱 리스크 커" 국외서 유전체 정보 수집 가능성도
ⓒ뉴시스
스마트폰에 탑재된 헬스케어(건강관리) 앱을 통해 미국, 일본 등 국가의 건강 관련 민감 정보가 중국에 흘러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헬스케어 앱을 사용했을 뿐인데 중국이 노리는 1억2000만명의 정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 중국 헬스케어 앱의 빠른 성장세에 주목했다.
스마트폰에 탑재된 헬스케어 앱은 알리바바그룹 헬스케어 자회사의 알리헬스 앱과 중국의 원격 의료 플랫폼인 핑안굿닥터 등이 대표적이다.
문제는 헬스케어 앱 이용자들의 개인정보가 유출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미국 듀크대의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헬스케어 앱을 운영하는 기업들이 브로커를 통해 개인정보를 매매하는 사례가 다수 발견됐다.
심지어 정신 질환 등 건강 데이터나 대출 상환 이력 같은 신용 정보 등 민감한 정보를 판매한 사례도 있었다.
매체는 “헬스케어 앱의 편리함 속에 위험이 숨어 있다”며 특히 중국산 앱의 리스크가 크다고 지적했다.
국제사회에선 유전체(게놈) 데이터 유출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
매체는 “인공지능(AI) 활용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해석해 신약을 개발하는 시대가 도래했다”며 “전 세계 다양한 집단의 유전체 데이터를 재빨리 확보한 국가가 국제 패권을 잡게 될 것”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중국은 이미 항암제나 항생물질 제조 부문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갖고 있다”며 “중국이 적극적으로 유전체 정보를 수집하면 미국이나 일본, 유럽 등이 우위를 점해 온 신약 분야에서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수집된 정보를 어떻게 이용하는지 알 수 없다는 점도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유전체 데이터는 수세대에 걸친 영향을 내포한다. 따라서 경제 안보상 강력한 위압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미국 정부도 지난 2월 대통령령으로 유전자 정보의 국외 반출 규제를 강화했다.
매체는 “미·중 대립 격화 속에서 더 이상 경제와 안보를 분리할 수 없는 시대가 됐다”며 “중국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좌우하는 의약품 시장에서도 선진국의 제약 대기업을 제치고 패권을 쥐게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