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하워드 1898년 전원도시 제창 집안일 공유 협동주택 실현 지역 농장 식재료로 조리하는 ‘팜 투 테이블’ 운동 활성화 이상적 커뮤니티 향한 노력 계속
김대균 건축가·착착스튜디오 대표
‘가족’의 유의어로 쓰이는 ‘식구’는 음식을 함께 먹는 행위의 의미를 대변한다. 음식은 단순히 영양을 공급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인류가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집의 부엌이나 동네 식당, 지역 축제 등에서 음식은 정보와 노동을 교환하고 서로를 하나로 묶는 역할을 했다. 요즘 유명 식당과 카페는 지역이나 백화점을 찾아오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기업의 구내식당은 기업 복지와 회사 분위기의 척도가 되고 있다.》
인구 감소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시골에서 남아 있는 식당의 가치와 역할을 살펴보면 음식과 지역의 연관성을 더욱 크게 실감할 수 있다.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음식과 공동체는 이제 지구적 변화와 함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하면서 음식과 도시, 건축의 역할을 다시금 생각할 필요가 생겼다.
1898년 에버니저 하워드가 낸 책 ‘내일: 진정한 개혁에 이르는 평화로운 길’ 중 도시와 전원의 장점과 단점을 나열하고 전원도시의 가치를 표현한 다이어그램. “사람들이 어디에 살 것인가?”를 묻고 있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근대 초기 공동주택은 사회적 실험과 이상향을 위한 실천이라는 의미가 컸다. 특히 공동주택 중 음식과 관련된 공간 변화가 가장 두드러졌다. 이것은 당시 여성의 가사 노동에 관한 이슈가 크게 부각되었기 때문이다. 공동체 실험의 시작은 조리 공간과 식사 공간이었지만 이후 육아, 세탁 등 다양한 가사 노동 영역에서 커뮤니티의 실험이 확대되었고, 이후 가사 노동을 넘어 극장, 수영장, 카페 같은 여가시설로 공동체 영역이 확대되었다. 이것은 아파트 호텔, 부엌이 없는 집, 조리된 음식 배달 등 요즘 공유주택들이 고민하는 부분의 시작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 당시와 지금 다른 점이 있다면 지금은 돈을 받고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그 당시는 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노동’을 공동체 스스로 함께했다는 점이다.
지역 농산물을 식탁에 올리는 팜 투 테이블(farm to table) 운동은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 도시와 농촌의 결속 등 여러 도시 문제를 풀 실마리를 제공한다. 사진 출처 요나 작가 제공
팜 투 테이블 운동은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 지역경제의 연결, 윤리적 소비, 도시와 농촌의 결속 등 수많은 도시 문제를 풀 실마리가 된다. 도시 농업과 팜 투 테이블의 연결은 각박한 도시의 오아시스가 되고, 농어촌과 연계된 시골의 팜 투 테이블은 지역의 새로운 활력을 불러일으키는 문화발전소의 역할을 한다. 길거리에 붕어빵이라도 먹을 수 있는 노점상이 있는 지역은 조금이라도 인간미가 느껴진다. 실제 세계 많은 곳에서 노점상은 관광명소가 되었으며, 유럽의 광장과 연계된 카페와 식당은 도시의 분위기를 부드럽고 활기차게 만든다. 음식은 단순히 맛과 영양을 넘어서 인간의 생존과 즐거움의 근간인 동시에 도시와 인류공동체를 이어주는 연결점이다.
김대균 건축가·착착스튜디오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