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불과 50년 전 서양문화가 들어오고 패스트푸드가 우리나라에 알려질 때만 해도 몇몇 미래학자들은 한식은 21세기에는 없어질 음식으로 예언했다. 그 이유로는 맛과 영양이 그리 뛰어나지도 않은데, 요리하는 데 시간이 많이 들고 설거지하는 데도 품이 많이 들어 기계화되고 자동화되는 미래에는 도태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예측은 틀렸다. 오히려 지구촌화, 정보화로 한류가 세계 일류 문화의 하나로 알려지고, 더불어 한식도 함께 알려지게 됐다. 기계화, 자동화 시대에 빨리 먹고 일할 수 있는 음식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삶의 질을 추구하며 즐겁고 행복한 생활을 누리고자 하는 방향에서 음식이 중요해졌다. 오늘날 음식은 맛과 문화가 중요하지 만드는 시간이나 설거지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직 세계적인 음식이 되는 것은 독특하고 건강한 맛과 문화에 달려 있다.
권대영 한식 인문학자
그러나 한식의 뿌리와 본질을 이야기하지 않는 정의 논란은 아무 의미가 없다. 지리-음식학 차원에서 이야기하면 한식은 한반도와 같은 독특한 지리적 특성과 요하 문명과 우랄알타이어족으로 대표되는 우리 민족의 뿌리에서 나온 것이다. 쉽게 이야기하면 ‘기름과 설탕을 쓰지 않고 빵이 아닌 밥을 어떻게 맛있게 먹을 수 있느냐’에 대한 조상들의 지혜가 쌓여서 나온 세계적으로 독특한 음식이다. 중국처럼 기름이 많은 나라는 요리 온도를 300∼400도로 올릴 수 있기 때문에 향이 나고 맛있는 튀김이나 볶음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요리하면 쉽게 상하지도 않는다.
이것이 K푸드의 분별 기준점이다. 과학적으로 보면 설탕과 기름을 쓰지 않고 맛을 낸 음식이니까 건강한 음식이다. 요즘 유행하는 매운맛은 K푸드의 대표 맛이 아니다. 우리나라에 50만 년 전 분화된 우리 고추는 그렇게 맵지 않았다. 우리 고추보다 훨씬 매운 수입 고추로 낸 맛은 우리 맛이 아니다. 기름과 설탕을 쓰지 않으면 맛을 내지 못하는 음식은 진정한 K푸드라고 말할 수 없다.
권대영 한식 인문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