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올해 1~7월 전국 산부인과 의원 10곳 중 9곳은 분만을 1건도 안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 심화로 수요가 줄어든 데다 분만 수가(건강보험으로 지급하는 진료비)는 낮고 소송 위험이 큰 탓에 갈수록 분만 인프라가 붕괴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 전국 분만 의료기관 6년 새 23% 감소
특히 전남 지역 산부인과 의원 중에선 2019년 이후 올해 7월까지 분만 수가를 청구한 곳이 한 곳도 없었다. 광주에서도 2021년 이후 올해 7월까지 분만 수가를 청구한 곳이 없었다. 이들 지역 산부인과 의원 대부분이 부인과 진료만 하고 분만은 하지 않은 것이다. 이들 지역의 산모 중 산과가 있는 대형병원이 집 근처에 없으면 분만을 위해 ‘원정 출산’을 가야 하는 상황이다.
분만 기능을 유지하는 대형병원의 수도 줄고 있다. 전국적으로 분만이 가능한 병원 수는 2018년 555곳에서 올해 425곳으로 6년 만에 23.4% 줄었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분만 의료기관 수가 줄었다. 특히 대전은 2018년 29곳에서 올해 15곳으로 반토막이 났다.
● “분만 의료기관 접근성 높여야”
분만 수가는 최근에 다소 오르긴 했지만 지난해까지 자연분만 1건당 78만 원 안팎에 불과했다. 올해부터 광역시는 55만 원, 도 지역은 110만 원을 더 주고 있지만 자연분만 1건당 300만 원 안팎인 일본과 비교하면 여전히 절반 남짓에 불과하다. 오상윤 대한분만병의원협회 사무총장은 “분만을 하려면 병원에 수술실과 신생아실, 마취과 및 소아과 의사와 간호사 등 갖춰야 할 인력과 시설이 많은데 그에 비해 수가는 너무 낮다”며 “의사들이 굳이 힘들고 어려운 분만을 택할 이유가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의료계에선 산모들이 분만 가능한 병원으로 최대한 빨리 갈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최근 출산이 줄어드는 반면 노산 등 고위험 산모는 늘어 안전한 분만을 위한 인프라 확충의 중요성은 더 커졌다는 것이다. 김재유 직선제 대한산부인과개원의사회장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 내 산모들을 관리하면서 분만할 때 갈 수 있는 병원과 즉각 연결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분만 가능한 산부인과 의원이 지역별로 최소한만이라도 유지될 수 있도록 실질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소영 기자 ks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