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문명-산업혁명-수자원 위기… 인류사 속 물 역사 3단계로 구분 수자원 통제로 일군 경제적 번영… 생태계 파괴-기후 위기 몰고 와 화석연료와 달리 대체 자원 없어… 지속가능한 미래 위한 대안 제시 ◇물의 세 시대/피터 글릭 지음·물경제연구원 옮김/488쪽·2만3000원·세종연구원
인류는 수자원 관리 능력을 키우면서 그동안 발전을 이뤄 왔지만 기후변화, 수자원 부족 등으로 ‘물의 위기 시대’를 맞게 됐다. 저자는 지금이라도 상황을 직시하고 생태계 복원, 수자원 가용성 확대 등의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한다. 게티이미지코리아
2018년 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로 칼 세이건상을 받은 물 전문가인 저자는 신간에서 인류에게 가장 중요한 자원인 물의 역사를 세 시기로 나눈다. 첫 번째 시대는 수렵채집 생활의 시작부터 강을 기반으로 4대 문명이 꽃핀 시기까지다. 당시 유목에서 정착으로 인류의 생활방식이 바뀌면서 댐, 수로는 물론이고 물과 관련된 법과 제도가 정비되기 시작했다.
두 번째 시대는 산업혁명 후 기술 발달을 토대로 과거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물 활용이 가능해진 시기다. 이때 인류는 빙하에서 사막까지 수천 km에 이르는 수로를 건설하고, 농경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식량 재배가 가능하도록 대규모 관개 시스템을 구축했다. 저자는 “현대 문명은 두 번째 물의 시대의 발전 위에 세워져 경제·사회·문화적 풍요를 누리고 있다”고 말한다.
민간기업의 ‘수도 민영화’도 두 번째 물의 시대에 닥친 또 다른 위험 요소다. 세계은행은 1990년부터 2021년까지 65개국의 상하수도 부문에서 1100건 이상의 민영화가 이뤄졌다고 추정한다. 그러나 저자는 “민간기업은 자연 수생태계를 보호할 유인책이 거의 없다”고 단언한다. 실제로 1989년 영국 총리 마거릿 대처가 잉글랜드와 웨일스 상하수도 시스템을 10개 지역 기업에 넘겨 민영화했지만, 물 가격은 대폭 올랐고 환경 오염은 심각해졌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물의 세 번째 시대를 통해 물과 인류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지금과 같은 식이라면 앞으로 물 사용에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 현재 지하수는 세계 식량의 3분의 1 이상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지하수는 화석 연료처럼 매장량이 한정돼 있어 언젠가 고갈될 수밖에 없다. 화석 연료는 풍력, 태양 등 대체 에너지가 있지만, 수자원은 그렇지 않다. 저자는 대안으로 △물 이용에 대한 보편적 권리 인식 △훼손된 생태계 복원 △폐수 등을 활용한 수자원 가용성 확대 등을 제시한다
기후위기라는 혹독한 대가 18일(현지 시간) 체코 올로모우츠주 미쿨로비체에서 한 주민이 홍수 피해를 입은 집 주변을 망연자실한 표정으로 살피고 있다. 폭풍 ‘보리스’가 유럽 중동부를 덮치면서 최소 20명 이상이 사망했다. 인류가 수자원을 통제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지만, 부작용으로 각종 이상 기후를 겪고 있다. AP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