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UAE 새로운 반도체 허브 되나…삼전-TSMC 공장 유치 추진

입력 | 2024-09-23 14:20:00


WSJ 갈무리


현재 세계 반도체 공장은 미국과 중국, 한국, 대만 등 동북아시아에 집중돼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중동의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이 반도체의 새로운 허브를 기치로 한국의 삼성전자와 대만의 TSMC 공장 유치에 나서고 있다.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2일(현지시간) UAE가 한국 삼성전자와 대만 TSMC의 총 1000억 달러(약 133조 원) 규모의 반도체 공장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위탁생산) 반도체 제조업체인 TSMC의 경영진이 최근 UAE를 방문, 대만에 있는 TSMC의 첨단 시설에 필적하는 공장을 건설하는 것에 대해 논의했다.

이뿐 아니라 한국의 삼성전자도 최근 UAE에 특사를 파견해 신규 사업에 대해 논의했다.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삼성 로고의 모습. 뉴스1

논의가 초기 단계며, 직면한 기술 및 기타 장애물을 감안할 때, 프로젝트가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만약 성사된다면 1000억 달러 이상의 대형 프로젝트가 될 전망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비용이 급증해 단일 최첨단 반도체 공장에 최소 200억 달러가 들어간다. UAE에서 논의되고 있는 대규모 프로젝트는 수많은 공장이 들어서는 것으로, 총 1000억 달러가 넘는 복합 단지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논의 중인 초기 조건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UAE 국부펀드의 자금 지원을 받게 되며, 주간사는 아부다비에 본사를 둔 국부펀드 ‘무바달라’다. 무바달라는 약 3000억 달러의 자산을 운용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국부펀드 중 하나다.

UAE가 이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이유는 UAE가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인공지능(AI)을 선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상당한 기술적, 정치적 장애물이 남아 있다.

일단 가장 큰 우려 사항은 깨끗한 물의 확보다. 반도체 제조에는 실리콘 웨이퍼를 헹구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깨끗한 물이 필요하다.

그러나 UAE는 물 부족 국가로, 대부분의 물을 바닷물 담수화를 통해 해결한다. 이에 따라 반도체 생산에는 상당한 정화가 필요하다.

이뿐 아니라 한국과 대만이 본거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최고급 기술 인력을 파견하는 것도 쉽지 않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미국이다. 미국은 2022년 ‘반도체 법’을 제정하고 390억 달러의 보조금을 반도체 산업에 투입하는 등 자국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에 혈안이 돼 있다.

이와 함께 대중 반도체 수출을 제한하는 등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견제하고 있다.

미국은 UAE에서 생산되는 반도체가 중국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UAE는 중국의 주요 무역 파트너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와 TSMC는 UAE 공장에서 생산되는 반도체 선적에 대한 감독권을 미국에 부여하는 방안으로 이 같은 장애물을 극복하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장애물에도 UAE가 삼전과 TSMC 공장 유치를 추진하는 것은 석유 이후 먹거리를 위해서다. UAE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회원국이며, 수도인 아부다비는 석유와 천연가스의 주요 생산지다.

그러나 이 지역의 다른 천연자원 강국과 마찬가지로 아부다비는 최근 수십 년 동안 석유 자원 고갈에 대비, 산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아부다비는 특히 AI에 ‘올인’하고 있다. 지난 2월 샘 올트먼 오픈 AI 최고경영자(CEO)는 UAE 등과 AI 개발을 위한 반도체 생산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었다.

아부다비는 AI에 올인, AI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전략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UAE가 삼전과 TSMC의 공장 유치에 성공한다면 UAE가 새로운 반도체 허브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전 세계 정부도 이에 동참하게 해 반도체 산업 확장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