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 전 ‘막차’ 수요 영향
2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5만원권을 정리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 8월 전체 화폐발행잔액 176조8천억원 중 5만원권 지폐는 155조7천억원으로 전체 화폐발행잔액 중 88.1%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5만원권 비중이 88%를 돌파하기는 2009년 6월 발행 이후 처음이다. 2023.09.25.[서울=뉴시스]
금리 인하기를 맞이하면서 예금금리가 내려가기 전 정기예금에 자금을 넣어두려는 수요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만기가 1년 이상인 은행권 정기예금 잔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6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만기 1년 이상 정기예금 잔액은 7월 말 기준 659조812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02년 1월 이후 최대치다.
이중 1년 이상 2년 미만 정기예금 잔액은 595조6272억원으로 집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전월보다 1조759억원이 늘었으며 올해 들어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향후 예금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리가 더 내리기 전 ‘막차’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은행권 관계자는 “다른 투자처가 마땅치 않고 지금이라도 금리가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 1년 만기 정기예금에 묶어두면 현재 금리로 1년간 이자를 받을 수 있어 예금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주요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는 내려가는 추세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주요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 금리는 이날 기준 연 3.33~3.50%다. 기준금리(3.5%)보다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은행별로 우리은행 ‘WON플러스 예금’이 최고금리 연 3.5%로 가장 높으며 농협은행 ‘NH올원e예금’이 최고 연 3.42%로 뒤를 이었다. 이어 국민은행 ‘KB Star 정기예금’과 하나은행 ‘하나의 정기예금’ 연 3.35%,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 연 3.33% 순이다.
게다가 앞으로 은행권 예금금리가 올라갈 가능성도 작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내리는 ‘빅컷’을 단행했고 한국은행도 이르면 다음 달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시장금리가 하락하고 있어서다.
이어 “향후 금리 하락이 예상되기 때문에 1년 만기 예금금리가 3년 만기와 거의 같거나 만기가 길수록 금리가 낮은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5대 은행의 3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 금리는 연 2.7~3.1%로 나타났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