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선 피로해소제로, 로마男은 최음제로 그리스女는 남성퇴치제로, 중세의사는 살균제로 알고 보면 쓸모 많은 마력 식품 늘 인류와
마늘은 향이 강한 맛과 뛰어난 약리 효과로 구석기시대부터 애용돼 온 식재료다. 지금 우리가 먹는 쪽마늘의 기원지는 파미르고원과 톈산산맥 일대 중앙아시아로 알려졌다. 게티이미지뱅크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마늘류의 작물이 인간과 함께한 것은 구석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고학자들이 이탈리아 북부의 푸마네 동굴을 조사한 결과 약 3만5000년 전에 백합, 민들레, 파스닙(당근과 비슷한 구근식물) 등과 함께 마늘 같은 식물의 뿌리를 그린 동굴 벽화 조각들이 발견되었다. 식물의 구근은 생장을 위한 여러 영양소를 모아둔 것이니 농사를 짓기 이전 구석기시대부터 주요한 식량원이었다. 구석기시대의 동굴 벽화는 단순히 일상을 그린 것이 아니라 제사와 주술적인 염원을 기원하며 그린 것이다. 구석기시대부터 마늘은 단순한 식용을 넘어 주술적인 의미도 가진 것이다.
자극적 맛-약리 효과로 사랑받아
빙하기가 끝나고 유라시아 일대에서는 야생 마늘(곰마늘 또는 명이나물)을 널리 식용했다. 특히 덴마크 중석기(구석기와 신석기 사이 약 1만4000년∼6000년 전)의 할스코우(Halsskov)라는 유적에서는 야생 마늘을 구덩이에 저장하고 먹었던 흔적도 나왔다. 지금 먹는 마늘 장아찌처럼 마늘 특유의 독한 맛을 없애고 장기간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유럽은 물론이고 유라시아와 북미에서도 신석기시대 이래 원주민 사이에서도 비타민과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고 입맛을 돋우는 자극적인 맛의 야생 마늘은 널리 사랑받는 식자재였다. 특히나 기나긴 겨울을 견뎌야 했던 유라시아 북반구에서는 필수 요소였다.
이집트 투탕카멘 왕의 무덤에서 발견된 마늘 뭉치.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단군신화 마늘, 現 쪽마늘 아닌 듯
고대사회에서 마늘이 사랑받았던 이유는 향신료가 부족하던 시절 자극적인 맛을 내는 재료였다는 이유와 함께 특별한 약효에 있다. 마늘의 약효는 히포크라테스는 물론이고 3500년 전 쓰인 이집트의 의학서 ‘에버스서(Codex Ebers)’나 인도의 베다에 잘 나와 있다. 인도와 로마에선 자양강장의 효과를 이용해 최음제로 사용하기도 했다. 반대의 경우로도 사용되었으니, 고대 그리스 여성의 축제인 스키라(Skira) 때 여성들은 남편들이 접근하는 것을 막으려고 일부러 마늘을 먹어서 냄새를 풍겼다고 한다.
중세 페스트가 유행할 때 의사들은 새 부리 같은 마스크와 옷을 뒤집어쓴 뒤 몸에 마늘을 바르고 입안에 마늘을 씹어서 병자의 나쁜 기운을 막고자 했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15세기 유럽의 건강지침서 ‘Tacuinum sanitatis’에 등장하는 마늘 수확 장면.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특이하게도 유럽과 유라시아의 여러 민족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해도 산마늘은 공통으로 ‘곰마늘’이라 부른다. 겨울잠을 자고 난 곰이 그 냄새를 맡고 정신을 차리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해석하는 민속학자도 있다. 지금도 시베리아에서는 4, 5월에 눈이 녹으면 제일 먼저 올라오는 ‘체림샤’(곰마늘)가 시장에 등장하면 봄이 왔다고 여긴다. 비타민이 풍부한 마늘은 기나긴 겨울에 지친 사람들의 자양강장제였다. 마늘은 빙하기가 끝난 직후 마치 겨울잠을 깨는 곰처럼 새로운 문명의 시대로 진입하는 인간의 삶을 지탱하는 소중한 약초였다. 아마 빙하기 시절에 푸르른 채소가 그리울 때 가장 먼저 자라나는 마늘은 필수품이었을 것이다.
지난 1만 년간 인간의 역사에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마늘은 언제나 귀한 위치를 차지했다. 하지만 근대 이후 과학과 의학이 발달하면서 마늘이 가진 효능은 지워지고 부정적인 의미로만 각인되었다. 역한 냄새를 다스리는 제대로 된 가공과 요리법이 발달하지 못한 탓에 그 사용도 많이 줄었다. 현재 유럽에서 마늘을 음식에 주로 쓰는 나라는 헝가리나 이탈리아가 거의 유일하다. 헝가리는 고기 수프와 여러 민속 음식에 마늘을 넣는데, 그 이유는 유라시아 동쪽에서 밀려온 마자르족의 문화가 기반이 되어 형성됐기 때문이다. 이탈리아의 경우 로마의 영향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도 한국의 마늘 소비량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적다. 한국은 마늘을 풍부하게 활용하는 다양한 음식문화를 발달시켜 명실상부한 레시피의 하나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진정한 마늘 식문화 종주국이라 할 수 있다.
세상이 마늘을 멀리했어도 한국은 마늘을 꾸준히 사용했고, 이는 역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한국을 비하하는 소재로 사용되었다. “집 문이 열리기도 전에 조선인들이 좋아하는 마늘 냄새와 간장 냄새…복도에 배어 있었다.” 이민진의 소설 ‘파친코’에 등장하는 조선인 소유 6층 건물에 대한 표현이다. 재일교포가 살던 거리와 건물이 마늘 냄새로 덮였다는 뜻이다. 일제강점기 이후 재일교포는 ‘닌니쿠 구사이’(마늘 냄새)라며 사회적으로 멸시를 당하면서도 마늘이 들어간 한국 음식의 레시피는 절대 포기하지 않았다.
한국인의 마늘 사랑은 그러한 차별을 이겨낸 것이기에 더욱 특별하다. 마늘(蒜)은 빙하기 이후 세계인들의 역사와 언제나 함께한 중요한 작물이면서 동시에 가장 한국적인 작물이다.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