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정책사회부 차장
“수능 최저 기준 없이 논술시험 100%로 당락이 결정되는 대입 전형이었다. 연세대의 시험관리 감독 능력이 일선 중고교만도 못한 것 같다.”
12일 치러진 연세대 수시모집 자연계열 논술시험에서 감독관의 착오로 시험 시작 1시간 전 특정 고사장에서 시험지가 사전 배부되는 일이 발생한 이후 한 입시 커뮤니티에 올라온 수험생 글이다.
감독관은 뒤늦게 실수를 알아차리고 15분 뒤 부랴부랴 문제지를 회수했지만 해당 고사실 수험생 31명은 시험지 회수 뒤에도 자습시간을 갖고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있었다고 한다. 결국 시험 시작 전부터 인터넷 커뮤니티에 문제 관련 정보가 올라와 논란이 됐다. 이날 시험 도중 문제 오류가 발견돼 연세대는 시험 시간을 20분 연장하기까지 했다. ‘명문 사학’이란 명성에 걸맞지 않은 연세대의 대입 공정성 관리 능력을 드러낸 대목이었다.
사건의 발단은 감독관 착오로 인한 시험지 사전 배포인데, 학교 측은 논란의 책임을 문제 정보를 유출한 일부 수험생에게 돌리는 모양새다. 연세대는 시험 정보 등을 유출한 것으로 보이는 6명의 수험생을 경찰에 업무 방해 혐의로 고발했다. 관리 부실로 논란의 빌미를 제공한 연세대가 ‘피해자’인 것처럼 행동하는 인상이다.
여론이 들끓자 윤석열 대통령까지 나서 “책임자는 철저히 문책하고,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엄정 조치할 것”을 주문했다. 수시 전형은 대학의 자율시험이라며 대학의 조치를 지켜본 뒤 대응하겠다던 교육부도 그제야 ‘뒷짐’을 풀고 관련자에 대해 엄정한 책임을 묻겠다고 했다.
수시 전형 과정에서 ‘잡음’이 나오는 대학은 또 있다. 13일 치러진 한성대 ICT디자인학부 기초디자인 수시 실기 시험에선 감독관 착오로 제시어 사진 자료가 시험 시작 40분 후 배부됐고, 12일 치러진 단국대 음대 수시 시험에선 문제 1개가 시험 시작 50분 후에야 배부돼 논란이 됐다. 한성대는 “피해를 본 수험생 답안을 평가할 때 관련 상황을 적절히 반영하겠다”고 밝혔지만, 어떻게 형평성을 유지하면서 상황을 적절히 반영해 평가할 수 있을진 의문이다.
한국 사회에선 이르면 유아 때부터 서로 다른 출발선에서 ‘대입’이란 결승선을 향해 경쟁적으로 달린다. 부모들은 자녀들을 좋은 대학에 보내기 위해 과도한 사교육비 지출을 감내한다. 그리고 대학은 고등교육법에 따라 공정한 입학전형 운영에 대한 의무를 부여받는다. 대입 전형의 공정한 운영은 한국 사회가 대학에 기대하는 기본적 책무인 것이다.
김정은 정책사회부 차장 kimj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