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 의사 규모를 논의할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에 의료계가 결국 불참한다. 정부는 앞서 의료인력추계위를 연내 출범하겠다며 그 과반을 의사 간호사 한의사 약사 단체 등이 추천한 전문가로 구성하겠다고 밝혔지만 전문가 추천 마감일인 18일까지도 의료계는 추천을 거부했다. 사실상 연내 출범이 난망한 실정이다. 여야가 합의했던 여야의정 협의체도 당정 간 불협화음이 불거지며 한 달이 넘도록 표류하고 있다.
의대 증원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으로 우리 사회가 지불해야 할 비용은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불어나고 있다. 서울대 등 이른바 ‘빅4’로 불리는 상급종합병원은 전공의 이탈로 진료와 수술이 줄면서 올해 상반기에만 2135억 원의 적자를 봤다. 지난해는 550억 원의 순이익을 냈던 멀쩡했던 병원들이다. 국립대 병원 10곳은 올해 상반기 4127억 원의 손실을 보며 코로나19로 누적된 적자 폭을 더 키웠다. 경영난이 심각한 지역 병원은 도산 위기설이 돈다.
의료 공백 수습을 위한 국고 투입도 늘고 있다. 비상 진료체계 운영, 수련병원 급여 지원 등에 투입된 건강보험 재정은 벌써 2조 원 가까이 된다. 의료개혁에 투자할 내년도 예산에 맞먹는다. 17개 시도가 비상 진료체계 유지를 위해 편성한 재난관리기금도 1000억 원이 넘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