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한의학에서 잉어는 출산에 도움을 주는 약식(藥食)이다. 태반 속 태아를 있는 힘껏 밀어내는 출산의 과정을 거치면서 산모는 근육과 인대, 심지어 뼈와 관절마저 늘어난다. 용광로 쇠를 녹이는 것처럼 결합된 치골을 녹이면서 벌려 산도(産道)를 늘이는 것이다. 출산 후 조리(調理) 과정은 이렇게 이완된 신체 조직을 본래대로 수축시키는 일이다. 출산 후에 산모의 몸은 퉁퉁 붓고 축 늘어져 있다. 물기에 젖은 수건이나 이불을 본래대로 수축시키기 위해선 물기를 짜내고 햇볕에 말려 다리미질해야 한다. 출산 후 이완된 몸도 수분을 쫓아내고 열을 가해야 정상 상태로 수축해 근육과 관절이 제자리로 천천히 돌아간다. 산부에게 찬 것과 접촉하지 말고 바람도 쐬지 말라고 한 것은 다 이런 이유 때문이다.
산부에겐 부종을 어떻게 없앨지도 매우 중요한 고민이다. 출산 후 퉁퉁 부어 있거나 살이 찐 듯 부어 있는 것도 대부분 부종 때문이다. 중년에도 체형의 붕괴를 보이지 않으려면 부종으로 인한 ‘산후풍(産後風)’을 잘 치료해야 한다.
민간에서 임신에 의한 부종을 잡기 위해 잉어에 아욱과 파 뿌리를 넣어 국을 끓여 먹거나, 심장병으로 다리가 부을 때 잉어에 파 뿌리와 삼씨를 넣어 국을 끓여 먹는 것은 모두 이뇨 작용을 염두에 둔 처방이다. 정력을 보강하기 위해 잉어에 더덕, 생강, 대추를 넣고 고아 먹는 것은 잉어의 양적인 힘을 염두에 둔 것이다.
반면 생긴 것은 뱀처럼 험하지만 가물치는 음(陰)의 식재료다. 검은 색깔도 그렇거니와 본성이 아래를 향해 물이 없으면 진흙탕을 파고들어가 숨을 쉰다. 예의를 안다고 해서 예어(鱧魚)라고 하는데 머리에 북두칠성을 상징하는 일곱 개의 점이 있고 밤에는 북극성을 향해 머리를 조아린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검은색, 밤에 움직이는 습성, 아래를 향하는 힘 등이 성질이 찬 음적 기운을 상징한다. 가물치는 일설에 가모치(加母致)라 불릴 정도로 산모에게 효험이 있다. 출산 후 열을 진정시키는 데 도움을 주면서 이뇨 작용도 강하다. 열을 진정시키고 이뇨 작용을 돕는 힘은 간 기능에도 도움을 준다. 민간에서는 가물치와 미나리로 국을 끓여 먹는다.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