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 생명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세상의 본질에 대한 심오한 성찰 ◇침묵하는 우주/폴 데이비스 지음·문홍규, 이명현 옮김/420쪽·2만2000원·사이언스북스
저자가 과학책에 이야기를 부려 놓는 방식을 보면 아닌 게 아니라 그는 이런 강한 제목에 어울리는 작가다. 주로 우주와 과학의 가장 근원적인 지식이나 아주 멀리 나가는 연구 성과를 소개하는 이야기로 핵심을 잡는다. 그의 책에서는 우주가 처음 생겨날 때 어떤 모습이었는가, 우주는 얼마나 큰가, 우주는 아주 긴 시간이 지나면 과연 어떻게 변할 것인가와 같은 의문에 대한 연구 성과를 충실히 소개한다. 이런 내용을 풍부하게 잘 다루면서도 알기 쉽게 설명을 이어 가는 것이 그의 뛰어난 장기다.
데이비스는 삶의 의미와 세상의 본질에 대한 심오한 성찰을 부드럽게 이어 붙인다. 그럴 만하지 않은가? 우주가 앞으로 수백억∼수천억 년 정도 지나면 모두 사라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듣고 나면 독자는 ‘애초에 우주는 왜 생겨났고, 왜 사라지는 걸까? 이게 다 무슨 짓인 걸까?’라는 의문에 빠지기 십상이다. 저자는 이런 상태가 된 독자를 바로 그 의문 속으로 더 깊이 빠뜨리는 글을 써내려 간다.
예를 들어 만약 우주에 외계인이 없다면 그것은 생명과 문명은 우리 지구에만 있다는 뜻이 된다. 그렇다면 이 넓은 우주에 왜 우리가 사는 곳에만 생명이 깃들게 되었을까. 도대체 지구가 어떤 의미를 지닌 곳이기에 마치 선택된 곳처럼 생명이 자라는 유일한 곳이 되었을까. 반대로 만약 우주 곳곳에 외계인이 많다면 왜 그 많은 외계인은 지구를 찾아오지 않는 걸까. 또 생명과 문명이 우주 어느 한구석의 어떤 행성에서든 우연히 탄생해 멸망하는 것이라면 지구라는 행성에서 백 년쯤 살다 가는 인생은 어떤 의미가 있는 걸까.
그 모든 고민거리를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우주에 대한 신비 속에서 사색하도록 해 주는 책이 ‘침묵하는 우주’다. 1980년대부터 활약한 데이비스가 2020년대에 들어선 지금까지도 왕성하게 활동하면서 이렇게 재미있는 책을 쓰다니. 이 책이 나왔다는 사실 자체가 독자에게 신선함을 느끼게 해 주는 것 같다.
곽재식 숭실사이버대 환경안전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