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北, ‘폭파쇼’ 경의·동해선에 구덩이 파고 11m 토성 설치

입력 | 2024-11-04 16:30:00

합참 “남북 단절조치 마무리했다는 보여주기식 쇼”




동해선에 설치된 옹벽과 대전차구. 합동참모본부 제공

북한이 지난달 15일 TNT 폭약으로 폭파했던 경의선 및 동해선에 대형 구덩이를 파는 한편 옹벽을 세우고 흙으로 야트막한 산(성토지)까지 만들었다. 경의선 및 동해선의 남북 연결 도로 터와 폭파 전 제거한 철로(도로 바로 옆 위치) 터에 통상 전차가 진격해 오는 것을 막는 용도로 쓰이는 흙산과 구덩이를 만든 것. 우리 군은 이를 “남북 단절 조치를 마무리했다는 보여주기식 쇼”라고 평가했다.

합동참모본부는 4일 “북한이 경의선·동해선 도로와 철로가 있던 자리에 폭파 이후 매일 병력 300~400명과 굴착기, 불도저 등의 중장비를 투입해 콘크리트 대전차구(구덩이)를 만드는 작업을 해왔다”며 “이 작업은 2일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경의선에 설치된 옹벽과 대전차구. 합동참모본부 제공

이날 합참이 공개한 대전차구 공사 마무리 현장 사진을 보면 폭파된 동해선 도로와 철로 터엔 좌우 길이 160m, 폭 10m, 깊이 5m의 콘크리트 대전차 구덩이가 설치돼 있는 모습이다. 북한군은 대전차 구덩이 북쪽에는 흙을 쌓아 좌우 길이 180m 높이 5m, 폭 50m의 낮은 산을 만들고 나무도 심었다. 대전차구와 이 흙산 사이에는 콘크리트 옹벽을 세워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했다.

북한군은 경의선 자리에도 좌우 길이 120m, 폭 10m, 깊이 3m의 대전차구를 만들었다. 경의선 대전차구 북쪽에는 동해선보다 높은 11m 높이의 흙산(폭 45m)을 만들었다. 흙산 위엔 동해선과 마찬가지로 나무를 심었고, 흙산 앞에는 콘크리트 옹벽도 설치했다.

특히 동해선의 경우 대전차구 등의 공사가 거의 끝나가던 1일, 북한군이 흙산 위에 인공기를 꽂고 사진을 촬영한 뒤 인공기를 철수하는 모습이 우리 군 감시장비에 포착됐다.

북한이 1일 동해선 토산 위에 인공기를 걸어두고 사진을 촬영한 다음 곧장 인공기를 철수하는 모습이 우리 군 감시장비에 포착됐다. 합동참모본부 제공

통상 휴전선 일대에 판 대전차구는 상대가 전차를 몰고 진격해 오려 할 때 전차가 빠져 기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함정 역할을 한다. 먼저 남침할 의사가 없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하지만 합참 관계자는 “북한이 대전차구를 만든 건 전쟁을 일으키지 않겠다는 뜻이 아니다”라며 “북한은 언제라도 짧은 시간 내에 성토지(흙산)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대전차구를 메운 뒤 남침 루트를 만들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대전차구는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다”며 “인공기를 꽂은 건 남북 단절 및 차단 조치를 완료했으며 그 지역이 자기네 땅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쇼”라고 평가했다.

군 안팎에선 북한이 도로·철로를 차단하고 흙산을 쌓은 한편 옹벽과 대전차구 등 각종 구조물까지 설치한 것을 두고 러시아로의 대규모 파병 등으로 내부 동요가 심각해져 탈북이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그 루트를 사전 차단하려는 목적도 있는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손효주 기자 hjs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