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인구유출 대응 나선 부산시, 시민 반응 ‘싸늘’

입력 | 2024-11-05 03:00:00

청년 비중 매년 줄어 5.95% 기록… 광역시 중 유일한 소멸위험 지역
시, 인구변화대응 전담조직 구성해
임신-출산-양육 지원 등 전략 세워
시민 “파격적 대책이 절실한 시점”



지난달 30일 부산시청에서 ‘인구변화대응 TF’의 첫 회의가 열렸다. 부산시 제공


부산이 10년간 청년인구 비중이 가장 많이 줄어든 지역으로 나타났다. 부산시가 인구 문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나섰지만 시민들의 반응은 차갑다.

4일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발간한 ‘청년패널조사로 본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의 청년인구 유출과 유입’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은 2014년 전체 인구 중 15세 이상 29세 이하 청년인구 비중이 6.69%였지만 매해 비중이 줄어 2023년에는 2014년보다 0.74%포인트 감소한 5.95%를 나타냈다. 경북과 경남의 청년인구 비중은 각각 0.59%포인트, 0.56%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경기의 청년인구 비중은 2.92%포인트로 가장 크게 증가했고, 세종도 0.45%포인트 늘며 증가세를 보였다.

이 보고서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현황자료와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17개 시도별 15∼29세 청년인구 및 청년 취업자 분포 추이를 분석해 작성됐다.

부산의 인구 위기는 심각한 상황이다. 6월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2024년 3월 기준 소멸 위험 지역의 현황과 특징’에 따르면 부산시는 전체 광역시 6곳 중 유일하게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은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소멸 지수’ 값이 0.49로 조사돼 ‘소멸 위험’ 단계에 속했다. 부산은 이미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약 23%로 광역시 중 가장 먼저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상태다.

이와 관련해 부산시는 인구 감소와 인구 구조 변화에 전방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인구변화대응 전담조직(TF)’을 구성하고 지난달 30일 첫 회의를 열었다.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전담조직은 3개 반(총괄·지원반, 사업추진반, 연구·자문반), 5개 분과(저출생 대응, 청년유출 대응, 고령사회 대응, 생활인구 대응, 외국인 대응)로 구성됐다. 향후 전담팀은 △인구변화 대응전략 추진 상황 점검 △인구정책평가를 통한 재구조화 △시민 체감형 인구정책 발굴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또 이날 회의에선 시가 9월 발표한 ‘부산 인구변화 대응전략’의 주요 과제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관련 사업이 내실 있게 추진될 수 있는 방안도 논의됐다. 부산 인구변화 대응전략 주요 과제는 △임신, 출산 지원 확대 △양육 부담 완화 △출산, 육아친화 문화 선도 △맞춤형 주택 공급 △청년 소득·문화 격차 해소 △시니어 일자리 확충 △기업 투자 패키지 지원 △외국인 정착 지원 등이다. 분야별 세부추진계획에 따라 예산 확보 절차를 거쳐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또 시는 이달 중 지역맞춤형 외국인정책 포럼 개최, 주거혁신·빈집정비대책 등 과제별 정책을 구체화해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 행정부시장은 “인구 문제는 출산, 주거, 일자리 등 어느 한 분야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시정 전 분야가 하나의 톱니바퀴처럼 맞물려서 시너지를 내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민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주부 최미선 씨(46)는 “주변 학부모들이나 고3 수험생들 모두 한결같이 ‘인 서울’을 외치는 상황에서 과연 부산의 미래가 있는지 의문이다. 뭔가 파격적인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40대 직장인 이모 씨는 “대기업 부재 등 일자리가 가장 큰 문제겠지만 부산시가 청년 문제에 대해 과연 수도권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갖고 일하는지 반성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대학생 성모 씨(25)는 “나뿐만 아니라 친구들도 고향에서 부모님과 생활하면 정말 좋겠지만 더 많은 기회가 서울과 수도권에 있다고 여기는 게 현실”이라며 “부산의 어른들은 그동안 뭘 하다가 이제 와서 형식적인 대책을 마련한다고 나서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강성명 기자 smk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