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아나톨리아 반도 여행
튀르키에 여행이라고 하면 이스탄불을 가장 먼저 떠올린다. 비잔틴제국과 오스만제국의 중심지였던 이스탄불도 아름답지만, 튀르키예 수도 앙카라가 있는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고대 문명의 시원을 찾아가는 여행도 색다르다. 선사시대 차탈회위크 유적지부터 히타이트(청동기), 프리기아(철기), 알렉산더 제국, 로마 제국, 셀주크 투르크, 오스만 제국까지 그리스 로마 문명, 기독교와 이슬람 문명이 시루떡처럼 켜켜이 쌓여 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해가 뜨는 땅’이란 뜻의 아나톨리아반도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여행을 떠났다.
튀르키예 아나톨리아 반도 아피온 인근에 있는 아야지니 동굴 마을의 성모마리아 교회. 바위를 파내서 만든 창문으로 눈부신 빛이 새어들어와 더욱 성스러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튀르키예 수도 앙카라에서 남서쪽으로 94km 떨어진 평원. 기원전 9~3세기 경 고대 프리기아 왕국의 수도였던 고르디온에는 부드러운 곡선의 봉우리가 울퉁불퉁 솟아 있다. 마치 경주 대릉원처럼 130여 개의 왕과 귀족들의 고분 유적이 흩어져 있는 모습이다.
고대 프리기아 왕국의 수도였던 고르디온에 있는 미다스 왕 무덤.
무덤 입구 철제로 된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자 돌로 벽을 쌓은 좁고 긴 통로가 이어진다. 영화 ‘인디애나 존스’에서 나올 법한 긴 복도를 걸어가자 통나무를 쌓아서 만든 묘실이 나타났다. 석실 고분이 아니라 아름드리 향나무로 외벽을 쌓은 목곽분이다. 나무로 짠 널방이 무려 2700년 동안이나 썩지 않고 있었다는 사실에 입이 벌어져 다물어지지 않았다. 미다스 고분의 묘실(길이 6.2m, 폭 5.15m, 높이 3.25m)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 목재 건축물이다.
기원전 740년 경에 조성된 이 무덤을 1957년 발굴했을 때 60~65세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이 발견됐다. 유골의 주인공은 미다스 왕이 아니라, 아버지 고르디우스의 무덤이라는 설도 있다.
미다스 무덤 내 관이 놓여 있던 목곽분 내부. 고르디온=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
미다스 고분에서 발견된 나무 테이블. 앙카라 아나톨리아문명박물관에 전시돼 있다.
고르디온 박물관 벽면에 장식돼 있는 알렉산더 대왕과 고르디우스 매듭.
1950년대부터 발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고대 프리기아 왕국의 수도 고르디온 성채.
고르디온 성채에서 발굴된 모자이크 패턴화된 벽돌로 꾸며진 바닥 장식.
미다스 왕은 ‘임금님 귀는 당나귀귀’라는 전설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아폴로 신의 저주를 받아 당나귀 귀로 변한 임금의 비밀을 이발사만 알고 있었다. 그는 말하고 싶은 것을 참을 수 없어 땅을 파고 외쳤다고 한다. 그러자 땅에서 자라는 갈대들이 바람에 흔들릴 때마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는 소리가 들렸다고 한다. 이같은 전설은 신라시대 경문왕도 비슷한 이야기가 삼국유사에 전해온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고 외치는 곳이 ‘갈대밭’이 아니라 ‘대나무 숲’이라는 점만 다르다. 그래서 직장내 비밀 이야기를 익명으로 외치는 커뮤니티 공간에 ‘대나무숲’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고르디온 미디스 왕의 무덤에서 발견된 두개골. 튀르키예 수도 앙카라에 있는 아나톨리아문명박물관에 전시돼 있다. 앙카라= 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
고대 프리기아 왕국에서 해방된 노예가 자유인이 됐을 때 쓸 수 있었던 빨간색 프리기아 모자. 튀르키예 아나톨리아 반도=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
일반적으로 이슬람 사원(모스크)는 중앙에 커다란 돔이 있고, 주변에 뾰족한 첨탑이 여러개 서 있는 모습이다. 그러나 이러한 돔 형식의 모스크는 오스만제국이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한 뒤 비잔틴제국의 스타일을 받아들인 것이라 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시브리히사르 울루 모스크.
내부로 들어가면 지붕을 나무 기둥으로 떠받친 목조 건물이다. 기둥은 지리산 구례 화엄사 구층암의 자연주의 모과나무 기둥처럼 울퉁불퉁한 나무결을 그대로 살렸다.
기둥 위아랫 부분에는 고대 로마시대의 신전에 쓰였던 화려한 문양의 대리석을 끼워놓기도 했다.
앙카라에서 남서쪽으로 250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아피온카라히사르(아피온)에는 히타이트족이 쌓은 201m 높이의 거대한 바위 성채가 도시전체를 내려다본다. 1071년 이곳에 도착한 셀주크는 화산암 꼭대기에 있는 요새의 이름을 따서 이 도시의 이름을 ‘카라 히사르’(검은색 성)라고 지었다.
아피온은 강과 샘물, 온천이 유명한 도시다. 지금도 시내에는 수많은 온천이 관광객을 맞는다. 비옥하고 평활한 토지 덕분에 이곳은 각종 농업과 음식문화가 발달했다. 2019년에는 ’유니스코 미식 창의도시‘로 지정됐으며, 음식축제로도 유명하다. 아피온에서 가장 유명한 작물은 바로 아편. 아피온이라는 지명도 아편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모르핀 제주 등에 활용되는 양귀비(아편) 재배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아피온 음식축제.
아트로드(튀르키예 아나톨리아 반도) 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
이 곳에는 ‘인류 최초의 아파트’라고 이름붙여진 집단 거주지도 있다. 튼튼한 기반암을 깎아서 만든 동굴이 계단으로 이어져 여러층을 이루고 있다.
아야지니 동굴마을의 프리기아 아카데미.
특히 아나톨리아 반도에는 예수의 제자였던 바오로가 선교 여행을 떠났던 흔적도 남아 있어 성지순례를 오는 기독교인들도 많다. 사도 바오로는 세차례 선교여행을 통해 지중해 동부지역인 안티오크, 이코니온, 루스드라, 데르베, 피시디아 안티오크, 에베소, 필립비, 데살로니카, 베뢰아, 아테네, 고린도 등에서 복음을 전했다.
튀르키예 중부의 인구 2만5000명의 소도시 얄바츠에서 동쪽으로 약 3.2km 떨어진 곳에는 피시디아의 안티오키아(Antiochia in Pisidia)가 있다. 성문 유적을 지나면 로마대로 주변에 야외극장이 바라다보이는 곳에 비잔틴 제국시절인 325년 지어져 사도 바오로에게 봉헌됐던 성 바오로 대성당 유적이 있다. 사도 바오로가 유대인들에게 복음을 전한 유대교 회당이 있던 바로 그 곳이다. 원형 예배당에는 돌로 만든 제대와 나무 의자가 놓여 있었다.
피시디아 안티오크에 있는 성 바오로 대성당 유적지. 신약성서 사도행전에 나오는 바오로가 설교했던 유대인 회당 자리에 제단이 놓여 있다.
바오로가 도착한 ‘이코니온’은 현재 코냐(Konya)로 불리는 도시다. 수도 앙카라에서 남쪽으로 250km 떨어진 코냐는 로마제국 당시 시리아에서 에페소와 로마에 이르는 대로가 지나가는 바람에 상업도시로 발전했다. 현재도 인구 140만 명으로 튀르키예에서 7번째로 큰 내륙의 중심도시다.
동로마 제국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어머니 성 헬레나가 세운 아야헬레니 성당.
11세기 말 셀주크 투르크 왕조의 수도로 번성했던 코냐는 튀르키예에서 이슬람 색채가 가장 강한 도시이기도 하다. 사상가이자 시인었던 무함메드 젤랄루딘 루미(1207-1273)가 창시한 이슬람 신비주의 종파인 메블라나 교단의 중심지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코냐에서 가장 유명한 관광지는 루미의 무덤이 있는 메블라나 박물관이다. 에머랄드 빛 타일로 덮인 탑이 돔 위에 우뚝솟아 있는 박물관 안으로 들어가면 금박으로 수를 놓은 천으로 덮인 관(棺)들이 있다.
메블라나 교단의 역대 스승들의 무덤이다. 맨 안쪽에 있는 가장 크고 중후한 관이 메블라나 루미의 관이다.
메블라나 박물관 내부에 있는 젤랄루딘 루미의 묘.
아트로드(튀르키예 아나톨리아 반도) 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
코냐의 IRFA(문명연구센터)에서 감상한 세마 의식은 무대 위에서 마치 하얀 꽃이 피어나는 듯했다. 대나무 피리인 네이(Ney) 반주에 맞춘 춤은 후반부로 가까워질 수록 빨라진다. 우리나라 농악도 굿거리 장단에서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로 점점 빨라지듯 비슷하다.
● 인류 문명의 시원, 아나톨리아 반도
일반적으로 고대문명은 약 6000년전 경부터 메소포타미아(티그리스-유프라테스강), 이집트(나일강), 인디아(인더스강), 중국(황허) 등 4개의 거대한 강 주변 비옥한 땅에서 시작됐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튀르키예 아나톨리아 지방 남부에서 약 9500년 전 신석기시대 대규모 주거지인 차탈회위크(Çatalhöyük) 유적지가 발견돼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9500년 전 신석기시대 5000~1만 명 가량이 함께 살았던 대규모 집단 거주 유적지인 차탈회위크.
가로세로 2~4미터, 높이 3미터 가량의 집 안에 들어가보면 창고와 부엌, 거실이 있고, 정교한 벽화로 꾸며져 있다. 집마다 북쪽 벽에 뿔달린 황소의 머리를 걸고, 흙벽을 채색해 장식했다. 벽에는 별과 태양계, 사람과 여신, 사냥장면 등이 묘사돼 있다.
신석기시대 유적지인 차탈회위크에서 발견된 농업과 다산의 여신상 키벨레.
흙으로 만든 집이라 평균 70년 정도면 수명이 다해 새로 지어야 했다. 당시 사람들은 벽을 허무는 대신 흙으로 공간을 메우고, 그 위에 같은 구조로 새 집을 올렸다고 한다. 오랜 세월을 두고 그렇게 쌓아올린 집들이 무려 18층이나 돼 높이가 지표면에서 21m나 상승했다고 한다. 주거지에서 가장 특이한 점은 시신을 집 안에 매장했던 풍습이다. 그러나 차탈회위크에서는 마을의 공동시설이나 종교시설이 발견되지 않아 본격적인 도시라고 볼 수는 없다는 해석도 나온다.
차탈회위크 집단 거주지에 있던 진흙집을 복원한 모습. 집 안에 조상의 묘를 조성하는 독특한 풍습이 있다.
●앙카라 가볼만한 곳=튀르키예의 수도 앙카라를 튀르키예의 행정수도 정도로 생각하면 오산이다. 아나톨리아 반도의 고대문명이 살아 숨쉬고 있는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다. 앙카라 칼레시(앙카라성) 성벽에는 로마시대 라틴어가 쓰여진 돌이 수두룩하고, 성채 위 붉게 물드는 노을에서는 청춘 남녀가 사랑을 고백한다.
앙카라성의 노을.
‘이스켄데르(iskender)’는 알렉산더 대왕의 튀르키예식 발음. 양념한 양고기와 쇠고기를 섞어서 빙글빙글 도는 기계에서 구운 뒤 얇게 썰어내 먹는 케밥이다. 3층 창밖으로는 이슬람 사원인 모스크가 보인다. 투명한 잔에 담긴 붉은색 홍차 안에 모스크를 담아서 사진을 찍어봤다. 튀르키예 현지 분위기가 물씬 나는 앵글이다.
아나톨리아=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