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덮친 ‘트럼프 스톰’] 지난달 전체 취업자 수 증가폭… 4개월만에 10만명 밑으로 꺾이고 얼어붙은 소비에 자영업자도 비명… 정부 대책 나섰지만 경기 위축 우려
고용시장 위축의 피해는 일용직 근로자와 영세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에 집중되고 있다. 일자리 사정이 나빠져 소득이 줄어든 서민들이 다시 지갑을 닫으면서 내수가 위축되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도소매 취업자 3년 3개월 만 최대폭 감소
정부는 지난해 10월 취업자 수가 큰 폭(34만6000명)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라고 설명하지만, 그보다는 침체된 내수로 관련 일자리가 쪼그라든 결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 고용이 줄어든 업종은 대부분 내수와 밀접한 분야다. 도소매업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4만8000명 줄어 3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9월까지 석 달 연속 최대 감소세를 새로 쓴 데 이어 지난달에도 9만3000명 줄었다. 제조업 일자리도 4개월째 뒷걸음질 중이다.
● 내수 침체, 자영업 경기 강타
고용 둔화의 직격탄은 특히 취약계층이 맞고 있다. 지난달 임금근로자 중에서도 가장 취약한 계층으로 꼽히는 일용근로자는 1년 전보다 10만 명 줄었다. 상용직, 임시직 근로자가 10만 명 안팎 늘어난 것과 대조적이다.
내수 침체는 자영업 경기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폐업 자영업자에게 지급되는 ‘노란우산 폐업공제금’은 9월 기준 1조 원을 넘겼다. 지난해에는 연말에 처음으로 1조 원을 넘어섰는데 올해는 공제금이 나가는 속도가 더 빨라졌다. 자영업자들이 제때 갚지 못한 빚은 6월까지 2조6000억 원으로 이 역시 역대 최대다.
올해 7월 열린 ‘2024년 서울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에서 관람객들이 줄을 서 있는 모습. 뉴스1
바닥 경제에 좀처럼 온기가 돌지 않자 정부도 임기 후반 주요 국정 목표를 ‘양극화 타개’로 잡고 재정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양극화를 해소할 정책을 다각도로 검토 중이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와 관련된 것도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정부가 검토하고 있는 자영업자 대책에는 소상공인·자영업자 전용 채무조정 제도인 ‘새출발기금’의 요건을 완화하는 등 금융지원안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