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잠시 멈췄더니 흔들림이 지나가더라[김선미의 시크릿가든]

입력 | 2024-11-16 01:40:00


11월의 제주는 제3의 시공간 같았다. 섭씨 20도인 낮에는 양떼구름이 파란 하늘을 초원 가로지르듯 이동했다. 은목서와 꽃댕강나무는 어찌나 향기가 맑은지 무심코 지나친 발길을 되돌리게 했다. 보라색 쑥부쟁이가 흐드러진 낮은 돌담 너머로는 귤나무 군락이 이어졌다. 밤이 내려앉자 오래된 나무들에 걸린 작은 조명들이 반딧불이처럼 반짝였다. 제주는 거대한 생명의 정원이었다.

● ‘정령마을에서 잠시 멈춤’

제주 서귀포시 남원읍 하례리의 ‘하례내창’에 들어서자 소파를 덮은 담요와 각종 소품이 몽골이나 인도 같은 이국의 분위기를 풍겼다. 정면의 네모난 창문으로는 안뜰의 나무들이 숲처럼 내다보였다. 흰 벽면에서는 모닥불 영상이 흘렀다. 군데군데 놓인 캠핑 의자에 몸을 묻고 ‘숲멍’이나 ‘불멍’하라는 뜻인 것 같았다.

이가영 하례1리 체험휴양마을 사무국장이 참가자 일행을 반겼다. “시간 맞춰 오느라 서두르셨죠. 이젠 천천히 여러분만의 속도로 시간을 쓰세요. 저희가 준비한 프로그램에 모두 참여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세상의 속도가 아니라 ‘나의 속도’로 함께 해주세요.”

하례내창은 ‘정령마을에서 잠시 멈춤’이라는 이름의 마을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카페다. 1300여 명의 주민이 사는 하례리는 제주도와 환경부 지정 생태관광마을이자 농림축산식품부 지정 체험휴양마을이며 이곳에 사는 예술인들이 주민들과 협의해 정령(精靈·사물에 깃든 영혼)을 콘셉트로 잡은 예술마을이기도 하다.

정령마을 체험 프로그램에서 판별해준 ‘나의 정령’.

이 국장이 소파로 안내했다. “이제 ‘나의 정령’을 찾아보는 여행을 떠나실 겁니다.” 그러면서 ‘나는 지금 ○○○다’라는 문구가 적힌 카드를 내밀었다. ‘단단하고 평안합니다’, ‘조금 흔들리고 있습니다’, ‘지금 삶을 여행 중입니다’라는 세 가지 카드 중에서 현재의 마음 상태를 골라보라고 했다. ‘조금 흔들리고 있습니다’를 골랐다. 빈칸을 채워야 할 두 번째 카드는 ‘나는 ○○○가 평안했으면 좋겠습니다’였다. 내 마음, 주변 사람들, 우리의 미래 등 5가지 선택지 중 고심 끝에 ‘내 마음’을 골랐다. 내 마음부터 평안해야 주변을 챙길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런 과정으로 ‘판별’받은 ‘나의 정령’은 ‘중심에 좋은 것을 품은 영혼’이었다. 역삼각형 안에 원이 그려진 카드엔 이렇게 쓰여 있었다. ‘지금 마음이 조금 평온하지 않다고 느껴지는 건 당신은 원래 마음 중심 단단히 정말 좋은 것을 품고 있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조금 흔들리는 지금의 시간이 곧 흘러가고 다음엔 더 평안한 마음으로 지금의 것들을 가만히 바라볼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마을 주민들이 만든 ‘믿거나 말거나’식 카드점이었지만 의외로 마음에 위로가 되었다. 역삼각형처럼 불안정해도 희망은 있다고 확인받은 느낌이랄까. 이 프로그램의 다른 참가자들은 새로운 무언가에 도전하는 ‘가지를 뻗어가는 영혼’, 우직하게 자신만의 호흡으로 세상을 마주하는 ‘황소 눈을 가진 영혼’ 등의 정령 카드를 받았다. 주최 측은 각각의 정령에 해당하는 기호를 뺨에 그려주고 그에 맞는 차를 내왔다. 영혼이 환대받는 기분이었다.

● 생명이 흐르는 효돈천 트레킹

2002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제주 서귀포 효돈천 트레킹.

이 프로그램을 신청하게 된 데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었다. 첫째는 모집 대상이었다. ‘휴학, 이직, 퇴사, 이별 등 멈춤 사이에 자기 발견이 필요한 성인.’ 구체적 사유에 해당하지는 않았지만 한 번쯤 멈춰 나를 찾고 싶었다. 둘째는 2002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서귀포 효돈천 트레킹이 일정에 포함돼 있었기 때문이다.

마을 주민들이 개발한 효돈천 트레킹 프로그램은 해설사 교육을 받은 주민들의 인솔로 진행된다. 풀숲을 헤치고 들어선 그곳은 그야말로 별천지였다. 화산이 분출했던 계곡은 조면현무암(얇게 흐르는 용암 위에 쌓인 현무암)이라는 절경을 남겼다.

네발 동물처럼 두 손과 발을 사용해 암벽 등반하듯 계곡을 가로질러 분지 위에 자리 잡았다. 다음부터는 각자 고요한 시간을 보냈다. 거친 물살에 깎여 매끈해진 크림색 돌 위에 누워 보니 새 소리 합창이 들려왔다. 웅덩이 안 커다란 돌은 혹등고래 형상이었다. 노영심 작곡가가 만들었던 ‘똑바로 해도 거꾸로 해도 우영우’ 음악이 떠올랐다. 돌이 고래로 변신해 솟구치는 즐거운 상상을 했다.

하례리는 효돈천을 사이에 두고 효돈동과 접한다. 한라산에서 쇠소깍에 이르는 13km 길이의 효돈천은 한라산의 비를 흘려보내는 통로이자 다양한 식생이 서식하는 숨은 절경이다. 이 국장은 말했다. “정령이라고 하면 종교색이 있나 오해하는 시선들이 있는데 전혀 아니에요. 누구나 품고 있는 반짝이는 마음을 그렇게 표현해 봤어요. 자연 속 어떤 존재든 함께 어우러져 서로의 마음을 알아봐 주었으면 해서요. 용서해야 할 자신, 인정해야 할 자신 같은 여러 모습의 자신도 만나 보세요.”

천연물감으로 색칠한 나무토막들.

귤나무 바비큐.

카페로 돌아와서는 저마다 작은 나뭇가지를 골라 천연물감을 사용해 새나 물고기 모양으로 색칠해 봤다. 어둠이 깔린 야외 정원에서는 귤나무 장작을 태워 바비큐를 하며 귤과 마시멜로를 구웠다. 어느새 마음이 가까워진 다른 참가자들과 소리 명상 도구인 싱잉볼로 화음을 만들며 생각했다. ‘이렇게 평안함이 스며드는구나.’

● 제주를 담은 정원

한국식 자연주의 정원인 서귀포시 효돈동의 ‘베케’.

서귀포시 효돈동의 ‘베케’는 하례내창에서 차로 불과 6분 거리다. 효돈도 하례만큼 감귤로 유명한 동네다. 원예 전문가인 김봉찬 대표가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약 9900㎡(3000평) 감귤 농장을 탈바꿈시켜 2018년 문을 연 베케는 제주의 오름과 초원을 구현한 ‘한국식 자연주의 정원’이다. 밭에서 나온 돌을 쌓은 돌무더기를 뜻하는 제주 방언이 베케다.

베케는 통창을 통해 돌무더기와 이끼를 감상할 수 있게 한 카페가 입소문이 나면서 MZ세대, 외국인에게까지 널리 알려졌다. 그런데 김 대표는 올해 5월 새로운 건물을 선보이며 베케의 ‘시즌 2’를 열었다. 주차장이던 땅을 파내 분화구 정원(2300㎡·약 700평)을 조성하고 그 위에 건물을 올린 것이다.

“정원에 나무만 있는 건 뻔한 경관 아닐까요. 도시와 문명을 정원에 어우러지게 하고 싶었어요. 정원을 거닐며 건축에 들어서는 ‘길의 건축’인 셈이죠. 땅에 심은 노각나무가 콘크리트 건물과 중첩돼 공간에 깊이감을 줘요. 제 꿈은 ‘이렇게 좋은 야생의 분화구에 누가 건물을 지으라고 했냐’는 항의를 받는 거예요. 제주의 자연을 빼닮은 정원이라는 최고의 칭찬일 테니까요.”(김봉찬 대표)

그가 키우는 고양이가 정원에서 따스한 가을 햇볕을 즐기고 있었다. 꽃그령은 꽃이 시들어 오히려 몽환적이고, 돌과 흙을 시루떡처럼 쌓은 돌담에 핀 원평소국은 소복이 쌓인 흰 눈 같았다. 김 대표가 말했다. “좀 더 시들고 빛이 바래면 더 아름다워요.”

롯데호텔 제주 원생정원 전경.

호텔업계 처음으로 최근 민간정원으로 등록된 서귀포시 중문 롯데호텔 제주에도 비슷한 종류의 안식이 있었다. 인공적인 화산 분수쇼를 하던 장소가 제주 곶자왈을 형상화한 ‘원생정원’으로 거듭났다. 팽나무와 치자나무 등이 돌담과 어우러진 구불구불한 길은 느린 사유를 이끌었다. 이곳에서 낮에는 석창포차를 마시고, 밤에는 연못에 뜬 별을 만났다. 문득 궁금했다. 제주에서 내 마음은 평안해졌을까. 확실한 건 제주에서 잠시 멈춰 마음의 속도를 늦췄다는 것이다.




가볼 만한 다른 정원들①생각하는 정원
제주시 한경면에 1992년 문을 연 제주의 제1호 민간정원. 2000여 점의 분재와 1만여 그루의 나무를 설립자인 성범영 원장이 지금도 직접 가꾼다. 한국 정원의 특성을 보고 싶은 해외에서 특히 인지도가 높다

②이끼숲소길
제주시 애월읍 소길리에 올해 문을 연 2만 평(약 6만6000㎡) 규모의 대형 카페. ‘이끼숲’이 있는 ‘소길공원’이라는 뜻이다. 이끼숲과 풍혈(風穴·바람이 불어나오는 구멍)이 신비롭고 철쭉, 수국, 동백길도 조성돼 있다.

글·사진 서귀포·제주=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