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폭군들은 모두 미식가였을까. 연산군 때 간신인 유자광은 석화, 즉 굴을 연산군에게 수시로 바쳐 환심을 사고 승승장구했다. 심지어 사간원에서 “유자광이 굴과 전복을 채취해 임금에게 뇌물로 바쳤다”며 그를 탄핵하자, 연산군은 오히려 “유자광이 사사로이 내게 준 것을 탄핵했다”며 사간원의 관리들에게 장형을 내려 문책했다. 물론 연산군을 몰아내고 반정으로 집권한 중종 때 쓰인 실록에는 “유자광은 악행으로 얻은 전복과 굴을 진상해 임금을 호렸으니 그 죄가 크다”고 비판했다. 정권에 따라 유무죄가 달라진 진상의 속뜻은 알 수 없지만 석화, 즉 굴의 맛은 실록조차 인정한 셈.
한의학에서 굴은 몸에 좋은 귀한 약재로 인정받는다. ‘동의보감’에는 굴을 “바다에서 나는 음식 중 가장 귀하며, 안색을 좋게 만들고 피부를 곱게 한다. 해산물 중에서 가장 귀한 것”이라고 언급돼 있다. 실제 자주 체하고 음식 맛을 느끼지 못하는 등 허약하고 심한 소화불량에 시달리던 선조에게 당시(재위 7년) 이조판서였던 미암 유희춘은 그 치료제로 삶은 굴을 추천했다. 동의보감을 쓴 허준의 평생 후원자이자 한의학에도 밝았던 그는 ‘식료단자(食療單子)’라는 책으로 비위를 조리하는 법을 써 선조에게 바쳤는데 거기에서 굴을 추천한 것. 그는 약식동원의 원칙에 따라 선조에게 굴을 권했지만 “석화는 성질이 차갑고 미끄러워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며 과식을 경계하기도 했다.
필자가 어릴 때만 해도 솥은 물과 불에 약해져 밑바닥이 새거나 뚫리는 일이 잦았다. 바닷물을 솥에 끓여 소금을 만드는 사람들은 솥바닥에 굴 껍데기 가루(모려분)를 칠해 소금이 새지 않도록 했다. 굴의 이런 작용을 ‘수렴고삽(收斂固澁·기혈과 진액의 과도한 배출을 막는 효능)’이라고 하는데, 한의학에선 이 때문에 모려분을 땀을 자주 흘리거나, 정액이 새거나, 소변이 줄줄 새는 증상과 냉대하를 고치는 데 쓴다. 실제 약효도 좋다.
여기에 더해 모려분은 어지럼증과 이명의 치료에도 두드러진 약효를 보인다. 정신을 무겁게 눌러서 안정시키는 모려분의 ‘중진안신(重鎭安神)’ 작용이 불꽃처럼 타오르는 마음의 스트레스를 진정시키고 잠을 잘 오게 하는 것이다.
충남 보령에 있는 대천 앞바다에는 아주 넓은 백사장이 있다. 그곳의 모래는 아주 곱고 감촉이 좋은데 대부분 굴 껍데기인 모려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령에 사는 한 환자분을 상담하면서 특이한 경험담을 들었는데 “이명이 생겨 일주일에 두 번씩 대천 모래밭을 맨발로 걸었는데 어느 날 이명이 사라졌다”는 내용이었다. 모려분의 ‘중진안신’ 효능을 생각하면 ‘영 낯선 일은 아닐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