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발신기로 실시간 정보 관리… 올해부터 3년간 매년 새 위성 발사 지구적 차원서 동물의 생태 연구… 아프리카 돼지열병 신속하게 포착 지진 감지 등 ‘동물 육감’ 규명 기대… “생물 종 간 지식 연결하는 시대로” ◇동물 인터넷/마르틴 비켈스키 지음·박래선 옮김/304쪽·2만1000원·휴머니스트
동물 인터넷 저자 비켈스키는 여러 종의 동물에 발신기를 달면 지구 차원에서 이들의 생태를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저자가 발신기를 단 흰정수리멧새를 관찰하고 있다. 휴머니스트 제공
인간 외의 동물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이런 글을 올리게 될 리는 없다. 하지만 지구상의 동물들이 처한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는 있다. 동물들에게 발신기를 부착해 각각의 위치와 움직임(가속도), 고도, 온도, 습도, 기압, 자기장 등을 알아내고 이를 거대한 서버로 관리할 수 있다면 어떨까. 새들의 집단 이주에서 엘니뇨 같은 기후현상을 미리 감지하고, 위험에 처한 종에게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독일 막스플랑크 동물행동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인 저자는 미국 일리노이대에 재직할 때 ‘생물원격측정법’의 시조 격인 빌 코크런과 알게 됐다. 코크런이 1980년대에 지빠귀들에게 단 발신기는 새들이 이동할 때 자동적으로 유전적 본능만 따르는 게 아니라 서로 대화하면서 고도와 방향을 논의한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2020년에야 국제우주정거장을 사용하는 이카루스(ICARUS·우주를 통한 동물 연구 국제 협력) 프로젝트가 가동됐지만 러시아 과학자들이 핵심 기술을 빼내려 시도하거나 다른 프로젝트 때문에 통보 없이 우주정거장을 회전시키는 등 우여곡절이 따랐다. 결국 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지면서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다. 그러나 이카루스는 올해 자신들의 첫 위성을 쏘아올렸고, 앞으로 2년 동안 매년 새 위성 발사가 예정돼 있다. 저자도 고백하듯이 이제 첫걸음을 뗀 단계다.
그의 연구 캠프를 찾아온 바다사자. 휴머니스트 제공
과거 크기를 줄이기 전 과일박쥐에게 단 인식표. 휴머니스트 제공
걱정거리도 있다. ‘동물에 의한’ 동물인터넷이 ‘동물을 위한’ 것이 될 수 있을까. 저자는 “우리가 다양한 생명에 귀 기울일 수 있다면 다른 종을 고려할 때 인간도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걸 알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유윤종 문화전문기자 gustav@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