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스님-신부님 급감, 외국서 모셔와야할 판” 고민 커진 종교계

입력 | 2024-11-29 03:00:00

저출산-탈종교화 영향 지망자 줄어
외국인 스님을 상좌로 받아들여… 신학대학은 정원 줄이고 폐쇄까지
출가자 늘릴 방법도 마땅치 않아… “이대로 가면 빈 절-빈 성당 늘것”




강원 지역 한 사찰의 주지 스님은 요즘 외국인 스님을 상좌(上佐·스승의 대를 잇는 제자)로 받는 것을 심각하게 고민 중이다. 출가자 급감으로 상좌를 찾지 못하던 중 지인으로부터 “한국에서 재출가를 원하는 스리랑카 스님이 있다”는 말을 들었기 때문. 그는 “출가자 자체가 워낙 줄었고, 우리처럼 작은 절에는 오려는 사람이 더 없어서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저출산, 탈종교화 등으로 출가자, 신부 등 종교인 감소가 이어지면서 종교계가 밑에서부터 흔들리고 있다. 유학 차원을 넘어 외국인 승려를 상좌로 받고, 신학대 폐지 현상도 나타나고 있는 것. 일각에서는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빈 절, 빈 성당은 물론이고 외국인 주지 스님, 사제 수입 현상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전남 지역의 한 스님은 몇 년 전 네팔 출신 스님을 상좌로 받았다. 외국인 스님은 통상 유학으로 한국에 오지만, 아예 한국으로 재출가한 것. 네팔 스님을 받아들인 스님은 “인연이 닿아 받았는데, 우려와 달리 우리말도 잘하고 잘 적응해 만족하고 있다”고 말했다.

불교계에 따르면 출가자 부족이 더 심각한 작은 종단에서는 한국 불교계로 재출가한 동남아 승려를 상좌로 받는 경우가 점차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다 보니 일각에서는 출가자 구인난이 취업 사기로 이어지는 부작용도 생기고 있다. 스리랑카 등 상대적으로 경제 상황이 어려운 지역에서 브로커들이 일반인을 ‘위장 스님’으로 만들어 입국시킨 뒤 사라지게 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취업 비자와 달리 종교 비자는 사찰이나 스님의 초청장만으로도 발급이 가능한 점을 악용한 것.

이 때문에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은 올 7월 전국 사찰에 외국인 스님이 이탈하지 않도록 관리 감독을 당부하는 공문을 보내고 관련 간담회를 열었다. 총무원 측은 “타 종단에서 출가자 감소 등의 이유로 받은 외국인 스님들이 입국 후 종적을 감추는 일이 종종 발생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외국인 스님을 초청한 20여 개 사찰 주지 스님들과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사제를 양성하는 부산가톨릭대 신학대학은 신입생 부족 등의 이유로 2019학년도부터 폐지됐다. 신학생 중 부산교구 출신은 대구가톨릭대로, 마산 교구 출신은 광주가톨릭대로 보내졌다. ‘한국 천주교회 통계 2023’에 따르면 전국 가톨릭대 신학대 입학생은 2013년 143명, 2018년 130명에서 지난해 81명으로 줄었다. 가톨릭대는 대체로 정원이 40명 안팎이지만 일부는 신입생 모집이 어려워지자 20명 안팎으로 정원을 줄였다. 하지만 대부분 매년 10∼15명만 입학하는 실정이다.

매년 사제품을 받는 사제 수도 2017년 185명에서 2020년 113명, 지난해 86명으로 떨어졌다. 입학한 뒤 사제가 되기까지 군 복무 포함 10년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아직은 신부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지는 않지만,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학교 통폐합, 성당 통합도 시간문제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뾰족한 해법을 찾기 어렵다는 말들이 나온다. 1999년 532명을 정점으로 2010년 287명, 2020년 131명, 2022년 61명으로 출가자가 급감한 조계종은 은퇴자 출가 연령을 50세 미만에서 65세로 확대하는 ‘은퇴출가자제도’, ‘청소년 출가·단기 출가 제도’ 등 지원책 도입으로 지난해 출가자가 다소(84명) 늘었지만, 추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게 내부 기류다.

조계종 관계자는 “전국 교구가 25곳인데 지난해 출가자가 84명이면 교구당 2∼4명밖에 배치할 수 없다는 의미”라며 “그렇다고 출가자를 갑자기 늘릴 방법도 마땅치 않아 고민이 크다”고 말했다.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관계자도 “아직 본격적인 논의는 없지만 ‘이런 추세가 10여 년 계속되면 가톨릭 국가인 필리핀 등에서 사제를 모셔 오는 일도 생기는 것 아니냐’는 말들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진구 기자 sys120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