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억명의 성장하는 시장, 베트남에서 올해 가장 많이 팔린 자동차 브랜드는 뭘까요. 도요타? 현대자동차? 아닙니다. 바로 빈패스트(VinFast)이죠. 베트남 토종의 순수 전기차 제조회사입니다.
‘베트남 기술력으로 만든 전기차가 팔리겠어?’라는 조롱에도 내수시장에서 질주하는 빈패스트. 그 중심엔 베트남 최고 부자 팜 녓 브엉(Pham Nhat Vuong) 빈그룹 회장이 있죠. 한때 ‘베트남의 도널드 트럼프’로 불리던 부동산 재벌이 이젠 ‘베트남의 일론 머스크’를 꿈꾸며 전기차에 ‘올인’ 중인데요. 빈패스트의 무모한 도전을 들여다보겠습니다.
베트남 판매 1위 자동차임을 자랑하는 빈패스트의 홍보 이미지. 빈패스트 홈페이지
*이 기사는 3일 발행한 딥다이브 뉴스레터의 온라인 기사 버전입니다. ‘읽다 보면 빠져드는 경제뉴스’ 딥다이브를 뉴스레터로 구독하세요.
https://www.donga.com/news/Newsletter
지난달 중순 10월 자동차 판매 통계가 발표되자, 베트남 언론이 들썩였습니다. 1~10월 판매량에서 처음으로 베트남 유일 자동차 제조사 빈패스트가 1위를 차지했기 때문이죠. 빈패스트는 이 기간 약 5만1000대 차량을 판매했는데요. 도요타(4만9000대), 현대차(4만8000대)를 제친 겁니다.
빈패스트가 설립된 지 7년밖에 되지 않은 데다, 2년 전부터는 순수전기차만 생산한다는 점에서 이 기록은 더 주목받았습니다. 아직 전기차 인프라가 부족한 베트남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 1, 2위가 모두 빈패스트 전기차(VF3, VF5)였으니까요.
빈패스트 전기차가 왜 베트남에서 잘나갈까요. 일단 싸기 때문이죠. 소형 전기차 VF3는 가격이 1327만원(2억4000만 동)부터 시작합니다. 휘발유 소형차와 비교해도 가격 면에서 경쟁력 있는데요.
빈패스트 전기차 중 가장 잘 팔리는 모델인 VF3. 가격이 워낙 저렴해서 수입 오토바이인 혼다 SH150i 판매가격과 비슷한 수준이다. 빈패스트 홈페이지
빈패스트가 6월 말 내놓은 공격적인 마케팅도 한몫했습니다. 모든 신차 구매 고객에 계열사(V-그린) 충전소에서 1~2년 동안(모델 따라 다름) 무료 충전을 제공하고요. 모회사 빈그룹이 속한 모든 장소(쇼핑몰·호텔 등)에서 하루 5시간씩 무료 주차도 2년간 제공합니다. 게다가 각종 사은품까지. 여기에 베트남 정부의 전기차 등록비 100% 면제 정책까지 얹어졌죠.
빈패스트 전기차는 가장 크고 확실한 고객을 잡고 있는데요. 지난해 탄생한 베트남 전기 택시회사 GSM입니다. 이 회사의 택시는 100% 빈패스트 전기차(또는 전기 오토바이)로 운영되죠. 그럼 GSM 지분 95%를 보유한 대주주는? 팜 녓 브엉 빈그룹 회장입니다. 즉, 브엉 회장의 개인회사가 빈그룹 계열사인 빈패스트 전기차를 왕창 사주고 있는 거죠. 참고로 지난해 팔린 빈패스트 전기차 3만5000대 중 70%를 GSM이 사줬습니다.
이 정도면 전기차 팔아주려고 택시회사 차린 것처럼 보일 정도인데요. 물론 대기업 계열사가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는 거야 익숙한 이야기이긴 합니다. 다만 회장 개인회사로 일감을 몰아주는 게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이니 좀 특이하죠.
베트남 GSM은 ‘그린SM택시’라는 브랜드로 전기 택시 사업을 운영 중이다. 택시로 운행되는 차량은 100% 빈패스트 전기차이다. GSM은 동남아시아를 대표하는 승차공유서비스인 그랩과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GSM 홈페이지
또 치명적이지만 역시 베트남 언론에선 기사를 찾아보기 어려운 빈패스트 전기차의 약점이 있습니다. 품질과 성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가격이 그렇게 많이 저렴한 건 아니란 점입니다.
그럼 배터리가 포함된 VF5 플러스 가격은 얼마냐. 3030만원(5억4800만동)입니다. 경쟁 차종인 중국산 BYD 돌핀(베트남 판매가 3544만원)보단 저렴하지만, 대신 완충 시 최대 주행거리가 300㎞와 405㎞로 차이가 꽤 큽니다. 싼 게 비지떡이죠.
빈패스트는 이미 혹독한 품질 논란을 겪었습니다. 지난해 5월 야심 차게 미국 시장에 진출한 빈패스트는 첫차로 중형 전기 SUV VF8을 출시했었죠. 이때 자동차 전문지의 리뷰가 쏟아져 나왔는데요. 좀처럼 보기 힘든 수준의 혹평 일색이었습니다. 제목만 한번 볼까요.
모터트렌드 ‘2023 빈패스트 VF8 첫 번째 테스트 드라이브: 발신자에게 반환’
로드앤트랙 ‘첫 번째 주행:2023 빈패스트 VF8은 받아들일 수 없다’
인사이드 EVs ‘2023 빈패스트 VF8 씨티 에디션 첫 주행 리뷰: 으악’
빈패스트의 중형 전기SUV인 VF8. 지난해 미국에 출시했지만 자동차 전문지의 혹평이 쏟아졌다. 다만 VF8 외관 디자인의 경우, 페라리 458 스파이더를 디자인한 걸로 유명한 이탈리아 자동차 디자인 전문 회사 피닌파리나가 맡았기 때문에 괜찮은 평가를 받았다. 빈패스트 홈페이지
에어컨, 내비게이션, 방향지시등, 승차감, 조립 마감 등등. 너무 많고 심각한 품질 문제와 함께 예상보다 별로 싸지 않은 가격, 짧은 주행거리가 약점으로 지적됐습니다. 빈패스트는 당시 상징적으로 999대의 VF8 차량을 베트남 하이퐁에서 미국 캘리포니아로 운송해 왔는데요. 수백 대 차량이 이후 몇 달 동안 항구에 주차돼 있었다고 전해지죠. 지금도 빈패스트는 북미 지역 판매량은 따로 공개하지 않습니다.
올해 10월 28일 두바이에서 VF8을 출시하고 중동 시장 진출을 선언한 빈패스트. 빈패스트 홈페이지
그에 비해 공격적인 해외 확장을 추진하면서 벌여놓은 사업은 여기저기 너무 많습니다. 이미 북미, 유럽,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중동 시장에 진출했고요. 인도와 인도네시아에는 생산공장을 짓고 있습니다. 또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에도 공장을 짓기로 했는데, 어려워진 시장 상황을 이유로 2028년으로 연기한 상황이죠.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캐즘’에 빠지면서 찬 바람이 부는 요즘. ‘베트남판 테슬라’라는 빈패스트의 꿈은 그냥 한바탕 꿈으로 끝나는 게 아닐까. 이런 회의론이 당연히 나옵니다. 특히 빈패스트 주가가 지난해 8월 나스닥 상장 직후 700% 상승했다가, 다시 단숨에 95% 폭락하는 유례없는 널뛰기를 벌인 터라, 더더욱 시장의 의심이 커지죠. 지난해 한때 장중 90달러를 넘기도 했던 주가는 현재 4달러 언저리에 머뭅니다.
2023년 8월 나스닥에 SPAC 상장한 이후 빈패스트의 주가 흐름. 상장 직후 주가가 급등했지만 유통 주식수가 전체의 1% 수준으로 너무 적어서 주가가 심하게 왜곡됐다는 평가를 받았고, 이내 고꾸라졌다. 구글 금융
하지만 빈패스트는 도전을 멈추지 않을 겁니다. 가장 중요한 한 사람이 빈패스트에 올인 중이니까요. 빈그룹 창업자이자 베트남 최대 부자인 팜 녓 브엉 회장입니다. 브엉 회장과 빈그룹은 빈패스트에 이미 100억 달러 가까운 투자금을 쏟아부었는데요. 지난달 추가 자금지원을 발표했습니다. 빈그룹은 빈패스트에 2조원을 추가 대출해 주고, 브엉 회장은 개인 자산으로 2조8000억원을 제공한다고 하죠.
빈그룹은 수년 전부터 자동차 제조업에 온 역량을 집중해 왔습니다. 이를 위해, 슈퍼마켓(빈마트)을 포함한 소매업을 통째로 매각하고 항공업과 TV·스마트폰 제조업에선 과감하게 철수했죠. 빈패스트를 그룹의 최우선으로 둔 건데요.
전기차 제조업은 본래 돈 벌기가 쉽지 않은 산업이죠. 테슬라조차 흑자를 내기까지 17년이 걸렸으니까요. 이러다 빈패스트 때문에 빈그룹까지 휘청거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지만, 브엉 회장은 확고합니다. 지난 6월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언제까지 빈패스트를 더 지원할 거냐는 질문에 그는 이렇게 답했죠. “돈이 바닥날 때까지요.”
올해 1월 베트남 하이퐁의 빈패스트 공장에서 인도네시아의 당시 조코 위도도 대통령이 빈패스트 전기차 운전석에 앉아있다. 맨 왼쪽에서 웃으며 서 있는 사람이 팜 녓 브엉 빈그룹 회장. AP 뉴시스
브엉 회장의 사업 인생은 소련 붕괴 직후 혼란기였던 1993년 우크라이나에서 시작됐습니다. 소련 유학을 마친 뒤, 우크라이나에서 작은 베트남 국수가게를 하던 그는 값싼 인스턴트 라면에 대한 수요를 감지하고 모든 걸 걸었죠. 엄청난 이자율(월 8%)로 빚을 내서 라면 공장을 세웠습니다. 우크라이나에서 그의 라면 브랜드 ‘미비나’는 그야말로 대박이 났고요. 그는 단숨에 성공한 기업인이 됐습니다.
팜 녓 브엉 회장을 우크라이나에서 성공으로 이끌어준 인스턴트 라면 미비나(Mibiha라고 포장에 쓰여있지만 Mibina로 발음한다). 우크라이나에서 미비나는 인스턴트 제품을 일컫는 보통명사처럼 쓰일 정도로 대중적인 브랜드다. 브엉 회장은 2010년 1억5000만 달러를 받고 미비나를 네슬레에 넘겼다.
이어 그는 빠르게 성장하던 베트남으로 눈을 돌립니다. 2001년 여행 간 해변도시 냐짱(나트랑)에서 럭셔리 리조트 개발이란 사업 아이디어를 얻은 건데요. ‘바다에 돈을 쏟아붓는다’는 조롱을 받으며 개발한 ‘빈펄리조트 냐짱’이 대성공을 거뒀고요. 이후 하노이부터 호찌민까지 베트남 전역에 호텔·리조트·고급빌라·오피스빌딩·아파트 등, 가장 큰 부동산 프로젝트를 빈그룹이 휩쓸게 됩니다.
브엉 회장은 2013년 베트남 역사상 처음으로 포브스 선정 ‘빌리어네어(자산 10억 달러 이상)’에 올랐고요. 그에겐 ‘베트남의 도널드 트럼프’란 별명이 붙었습니다(트럼프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부동산 재벌이었지만, 그가 미국 대통령이 될 줄은 아무도 몰랐던 시절 얘기입니다). 물론 빈그룹이 헐값에 요지의 땅을 확보할 수 있었던 데는 정부의 지원이 있었으리라는 건 짐작할 수 있고요(물론 회사 측은 특혜를 받은 적 없다고 부인합니다).
그리고 이제 브엉 회장은 전기자동차라는 새로운 목표를 향해 돌진합니다. 일단 기회를 잡으면 그는 좌고우면하지 않죠. 온갖 회의론이 난무하지만 그는 이를 모두 “근거 없다”고 일축합니다. 그는 지난 4월 연례주주총회에서 이런 비장한 비유를 들며 말했죠. “70년 전 역사적인 디엔비엔푸 전투(인도차이나전쟁에서 베트남군이 프랑스연합군을 상대로 거둔 최대의 승리)의 ‘모두가 최전선을 위해, 모두를 위해 승리’라는 슬로건처럼 우리는 빈패스트를 결코 놓지 않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비즈니스 스토리가 아닙니다.”
내로라하는 경쟁자들도 고전 중인 글로벌 전기차 시장. 브엉 회장의 승부사 기질이 다시 한번 빛을 발할 수 있을까요. 결과는 예단할 수 없지만, 적어도 그가 모든 걸 걸었다니 좀더 예의주시해 보려 합니다. By.딥다이브
전기차 제조업을 키우는 건 베트남 정부의 목표이기도 합니다. 온 나라가 팍팍 밀어주면 세계적인 전기차 브랜드 하나쯤 키울 수 있으려나요. 결말이 궁금해지는 이야기입니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자면.
-베트남 유일의 자동차 제조사 빈패스트가 1~10월 내수 판매량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기적 같은 일’이라며 베트남 언론이 환호합니다.
-판매량 급증의 비결은 싼 가격+퍼주기식 마케팅, 그리고 내부거래입니다. 팜 녓 브엉 빈그룹 회장이 소유한 전기택시회사가 대놓고 빈패스트 전기차를 밀어주고 있죠. 빈패스트 전기차의 품질에 대한 혹평도 해외에선 파다합니다.
-하지만 빈패스트는 공격적 해외 확장을 멈추지 않고 있죠. 이러다 빈그룹까지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지만, 베트남 최고 부자 브엉 회장은 “돈이 바닥날 때까지” 빈패스트를 지원할 거라는데요. 늘 “공격이 최선”이라던 그의 도전이 계속됩니다.
*이 기사는 3일 발행한 딥다이브 뉴스레터의 온라인 기사 버전입니다. ‘읽다 보면 빠져드는 경제뉴스’ 딥다이브를 뉴스레터로 구독하세요.
https://www.donga.com/news/Newsletter
한애란 기자 haru@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