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현지시간)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서 열린 제19차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회의에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아랫줄 오른쪽에서 두 번째) 등 정부 대표단이 참석한 모습. 이날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최종 등재가 결정됐다. 국가유산청 제공
발효된 콩으로 각종 양념류를 담가먹는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이 됐다. 이로써 한국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23건을 보유하게 됐다.
유네스코 무형유산 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는 3일 오후(현지 시간)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서 열린 제19차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는 발효된 콩으로 된장, 간장, 고추장 등을 담가 먹는 문화로, 장 담그는 과정의 지식과 신념, 기술을 모두 포함한다.
장 담그기는 2018년 한국의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뒤 2019년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신청대상으로 선정됐다. 2022년 등재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한 뒤 지난달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가 사전 심사 결과 ‘등재 권고’ 판정을 내리면서 사실상 등재가 확실시돼왔다.
국가유산청은 “이번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게기로 보편적이라 오히려 간과될 수 있는 생활 관습 분야의 무형유산이 지닌 사회적, 공동체적, 문화적 기능과 중요성을 환기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헀다.
충남 논산시 명재고택에 늘어서 있는 장독대 항아리들. 국가유산청 제공
기본 양념인 장은 오랜 기간 한민족의 밥상을 책임져 왔다. 그 연원이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삼국사기에는 신라 신문왕(재위 681∼692년) 때 왕비를 맞으면서 보내는 폐백 품목에 ‘장’과 ‘시(䜻·장의 일종)’가 포함돼 있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조선 시대 왕실에서는 장을 보관하는 창고인 장고(醬庫)를 관리하는 상궁인 ‘장고마마’를 따로 둘 정도로 장을 중시했다.
한국의 장 만들기는 콩 재배와 메주 만들기, 장 만들기와 가르기, 숙성, 발효의 과정을 아우른다. 특히 메주를 띄운 후 된장과 간장을 만들고, 한 해 전 사용하고 남은 씨간장에 새로운 장을 더하는 한국의 전통 방식은 중국, 일본과도 다른 독특한 방식으로 평가받아 왔다. 또 장은 낮은 온도에서 발효를 시작해 점차 온도가 올라가는데, 이 과정에서 재료들이 가진 맛이 서로 어우러져 단맛, 쓴맛, 신맛, 짠맛을 모두 갖추게 된다.
이번 등재 결정에 따라 한국이 보유한 인류무형문화유산은 총 23건이 됐다. 우리나라는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년)이 처음 등재된 후 △판소리 △강릉 단오제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처용무 △가곡 △대목장 △매사냥(여러 나라 공동 등재) △택견 △줄타기 △한산모시짜기 △아리랑 △김장문화 △농악 △줄다리기(여러 나라 공동 등재) △제주해녀문화 △씨름(남북 공동 등재) △연등회 △탈춤 등의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사지원 기자 4g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