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의 긴급 현안질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4.12.10. [서울=뉴시스]
올해 10월 발생한 ‘평양 무인기 사건’과 관련해 “누구로부터 평양에 무인기를 보내라는 임무를 받았냐”는 야당 의원의 질의에 무인기 전력 운용 부대인 드론작전사령부사령관이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야당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계엄 선포 명분을 마련하기 위해 북한의 도발을 유도하려고 무인기 사건을 기획했다는 의혹을 제기된 바 있다.
계엄 선포 당일 윤석열 대통령이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에게 두 번 전화한 사실도 드러났다. 이날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등 주요 정치인을 체포해 구금하려고 했다는 의혹에 관해서도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이 체포와 구금시설 확인을 지시했다는 증언이 나와 파장이 예상된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계엄 선포 전인 3일 오전부터 병력 대기를 지시한 사실도 새롭게 공개되는 등 계엄 선포 당일 상황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퍼즐 조각이 하나둘 공개되고 있다.
● “평양 무인기 누가 지시했나” “확인해줄 수 없다”
8일 오전 1시 47분경 경기 포천 드론작전사령부 내 컨테이너에서 불이 난 사실도 뒤늦게 확인돼 도마 위에 올랐다. 김 의원은 “불로 태워 (무인기를 보낸) 증거를 인멸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사령관은 “불이 난 건 맞지만 여단장에게서 감전(누전)으로 보고 받았다”고 해명했다. 그는 “우리가 갖고 있는 드론과 발사대 등 부수장비들(이 있는 컨테이너에서) 불이 났다”고 했다. 군 관계자는 “드론 발사대, 통신장비 등이 소실됐다”며 “컨테이너 내에 드론은 없었다”고 했다.
군 고위 관계자는 “무인기 사건과 관련해 ‘확인해 줄 수 없다’는 건 대북 군사작전에 대한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한다는 우리 군의 일관된 원칙에 따른 대응 메시지로 군이 무인기를 보냈다고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10일 현재까지 우리 군 어디에서도 무인기를 보낸 사실은 확인하지 못했다”고 했다. 국가정보원 측도 자신들이 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 선포 당일 특수전사령관, 방첩사령관 등에게 직접 전화해 지시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윤 대통령이 정상적인 군 작전지휘계선을 벗어나 비선을 활용해 무인기를 보냈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 尹 특전사령관에 두 번 전화 “내용 말 못해”
이를 두고 첫 번째 통화 내용은 비교적 쉽게 공개한 곽 사령관이 두 번째 내용을 함구하는 건 윤 대통령 지시가 무력 진압 등 강도 높은 내용이어서 파장을 고려한 것이란 추측이 나왔다.
국회의원 구금에 관한 구체적인 지시가 있었다는 증언도 처음 나왔다. 김대우 방첩사 수사단장은 “구금시설 및 체포 관련 지시는 (계엄 선포 이후) 방첩사령관에게서 내가 직접 받았다”며 “ B1 벙커(수도방위사령부 지하 전시지휘소) 안에 구금할 수 있는 시설이 있는지 확인하라고 했다”고 말했다. 수방사 내 B1 벙커는 유사시 우리 군 전쟁지휘본부 역할을 하는 곳으로 방첩사에서 차로 15분 거리에 있다.
경기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전산실 내에 부대원들을 보내 논란이 된 문상호 국군정보사령관은 “3일 오전 10~11시에 김 장관이 ‘해당 주 야간에 임무를 부여할 수 있으니 1개 팀을 편성해 대기시켜라’는 지시를 했다”고 밝혔다. 최소한 김 장관은 이날 오전부터 계엄 선포를 준비했던 사실을 보여주는 결정적 증언이다. 문 사령관은 이에 대령 등 영관급 장교 10명으로 팀을 꾸렸다. 이어 “첫 지시 이후 과천 정부청사 인근에 오후 9시를 전후해 대기하라는 (추가) 지시도 받았다“고도 했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를 직접 언급한 지 2분 만인 오후 10시 31분 정보사 부대원들이 계엄군 병력 중 가장 먼저 선관위에 진입할 수 있었던 이유가 드러난 것이다.
한편 이날 국방위 현장엔 계엄사령관을 맡았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을 비롯해 현역 군인만 40여 명이 참석했다.
손효주 기자 hjson@donga.com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