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 사회가 온다] 〈2〉 제 역할 못 하는 연금체계 2055년 고갈 국민연금 개혁 지연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효과 미미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 등 필요”
건설업에 종사하는 김모 씨(58)는 60세가 넘어서도 일을 계속할 계획이다. 30년 이상 부은 국민연금으로 월 160만 원가량을 받을 예정이지만, 현재 소득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김 씨는 “세액공제를 위해 개인형 퇴직연금(IRP)에 가입했지만 가입 기간이 짧아 국민연금이 은퇴 후 소득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이라며 “어떻게든 일을 계속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2025년 초고령사회(65세 이상이 전체의 20%를 초과) 진입이 기정사실화된 가운데 노년층의 은퇴 준비 상황에 대한 우려가 짙어지고 있다. 선진국의 은퇴 노인들이 두둑한 연금을 바탕으로 활발한 소비, 경제 활동을 하며 사회를 뒷받침하고 있는 데 반해 우리 노년층의 은퇴 준비는 미진하기만 하다. 가뜩이나 1% 저성장 기로에 놓인 한국 경제에 노인들의 ‘소득 절벽’이 또 다른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높다.
● 유명무실 3층 연금 체계
1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보험료율 9%, 소득대체율이 2028년까지 40%로 조정 중인 국민연금이 현행 제도대로 운영된다면 2041년부터 수지적자가 발생하고 2055년에 기금이 소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청년층을 중심으로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이 커지자 윤석열 정부는 연금 개혁을 4대 개혁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올 9월 정부는 보험료율을 9%에서 13%로 4%포인트 인상하고 소득대체율을 42%로 상향 조정하는 내용의 국민연금 개혁안을 내놓기도 했다. 규모가 큰 사업장부터 퇴직연금 가입을 의무화하고 세제 혜택 등의 인센티브를 통해 개인연금 가입을 유도하겠다는 내용도 담겼다. 하지만 탄핵 정국 속에서 국민연금 개혁은 동력을 잃어버렸다. 연금개혁을 위한 법 개정은 사실상 어려워졌고,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설치 등 관련 논의는 후순위로 밀린 상태다.
국민연금을 보완하는 사적연금 역시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올해 9월 말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은 400조 원을 넘어섰지만 여전히 적립금의 83.2%가 예·적금, 보험 상품 등의 원리금 보장형에 쏠려 있다. 이렇듯 원리금 보장형에 돈이 묶여 있다 보니 퇴직연금의 최근 10년 연환산 수익률은 지난해 말 기준 2.07%에 그친다. 2022년 기준 개인연금 가입자 비중도 19% 수준에 그치고 있다.
● “수익률 제고 위한 제도 개선 필요”
김수연 기자 sye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