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생체 간이식 주인공인 이지원 씨가 당시 집도의였던 이승규 간이식·간담도외과 교수(왼쪽)와 주치의인 김경모 소아소화기영양과 교수와 함께 30주년을 기념하며 사진을 찍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30년 전 선천성 담도 폐쇄증으로 간이 딱딱하게 굳어가면서 첫돌도 되기 전에 죽을 뻔한 9개월 아기가 아버지의 간의 일부를 이식받은 후 기적적으로 살아나, 이제는 어엿한 사회인이 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16일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는 국내 첫 생체 간이식 주인공인 이지원 씨(30·여)가 1994년 12월 8일 서울아산병원에서 아버지의 간 4분의 1을 이식받고 난 뒤, 건강하게 성장해 어느덧 30세가 됐다고 밝혔다.
살아있는 사람의 간 일부를 이식하는 생체 간 이식은 환자 입장에서는 뇌사자 장기를 기다리지 않아도 돼 병세가 악화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지만 뇌사자 간이식에 비해 수술이 매우 까다롭고 합병증 발생 위험이 커 높은 생존율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1995년 5월 주치의인 김경모 소아소화기영양과 교수(왼쪽 두 번째) 등 의료진이 생후 15개월이던 이지원 씨의 퇴원을 축하해주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이렇게 높은 생존율을 보일 수 있던 배경에는 수술 전후의 고도화된 협진 및 집중 관리 시스템이 있었다고 서울아산병원 측은 설명했다. 간이식·간담도외과와 소아외과, 소아소화기영양과, 마취통증의학과, 중환자실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유기적으로 협진하며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해 수술 전 미리 계획을 세우고 수술 후에는 환자 상태를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이승규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석좌교수는 “1994년 12월 생후 9개월 아기를 살린 생체 간이식은 우리의 간이식 여정에 의미 있는 이정표가 되어주었고, 이를 계기로 7000명이 넘는 말기 간질환 환자들에게 생체 간이식으로 새 생명을 선사할 수 있었다”고 했다.
이어 “이러한 기적을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것은 절체절명의 환자를 살리고자 도전 정신과 열정으로 뭉친 간이식 팀 의료진과 수술 이후 눈부신 생명력을 보이며 일상을 살아가는 환자들 덕분이다”라고 밝혔다.
김경모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소아소화기영양과 교수는 “국내 첫 생체 간이식을 받은 아기가 기적처럼 유치원에 입학하고 이후 평범한 학창 시절을 보내며 이제는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다하는 성인으로 성장한 것은 이식 의료의 성공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라며 “이식 후 관리를 철저히 한다면 30년을 넘어 평생 건강하게 살 수 있다. 이식 환자들의 성공적인 삶은 앞으로 이식을 받을 아이들과 가족에게 큰 희망을 주는 귀중한 증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조유경 동아닷컴 기자 polaris27@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