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부산현대미술관에서 만난 최상호 학예연구사. 부산=김민 기자
미술관이 전시할 때 생기는 쓰레기를 전시장 속 작품 옆에 함께 놓고(지속 가능한 미술관: 미술과 환경), 작가와 작품에 관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전시를 하거나(거의 정보가 없는 전시), 어린이를 훈육 대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비판하는 어린이 전시를(포스트 모던 어린이) 한다.
불특정 다수가 찾는 공립미술관은 민원이 두려워 과감한 전시를 꺼린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런데 이 모든 전시는 부산현대미술관에서 열렸고, ‘민원’보다 ‘반응’이 나왔다. ‘거의 정보가 없는 전시’에는 관객 1만2000명이 작품을 보고 감상평을 남겼고 ‘포스트 모던 어린이’는 1, 2부 전시를 합해 24만 명이 관람해 미술관 개관 이래 최대 흥행 전시가 됐다. 과감한 전시 기획으로 주목받는 최상호 학예연구사(39)를 부산에서 만났다.
● 미술관 전시의 경계는?
전시를 하고 나면 생기는 쓰레기를 함께 전시한 ‘지속 가능한 미술관: 미술과 환경’전의 모습. 부산현대미술관 제공
최 학예연구사가 지금까지 연 전시는 모두 ‘미술관에서 이게 가능할까?’라는 질문을 담고 있다. 그가 최근 선보인 기획전 ‘능수능란한 관종’은 관심을 얻기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하는 사람을 비꼬는 단어 ‘관종’(관심 종자)를 주제로 예술 작품을 모았는데, 실험 미술가 성능경(80)부터 개념 미술 대표 작가 피에로 만조니(1933~1963), 젊은 작가 신민(39)과 ‘화수’(畵手, 화가 겸 가수) 조영남(79)까지 작품을 냈다. 이 전시는 “미술관 전시에 ‘관종’이라는 비속어를 전시 제목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출발점”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철구’ 같은 유튜버가 삭발하거나 물구나무를 서는 과한 행위를 하는 것이 동시대 퍼포먼스 예술가와 닮았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그렇다면 ‘현대 미술가와 유튜버의 다른 점은 무엇일까, 이런 행위가 미학적 의미나 사회적 비판 메시지를 담을 수 있는가?’라는 생각이 이어졌죠.”
처음엔 미술관 내부에서도 ‘관종’ 단어에 거부감이 있었다. 이에 최 학예연구사는 미술관 전시에 맞는 ‘공공성’을 보강했다.
이를 토대로 만조니의 ‘예술가의 똥’(1961) 같은 20세기 미술사의 유명 작품이 추가됐고, 해외 유명 미술가인 토마스 허쉬혼은 전시 기획을 흥미롭다고 느껴 대형 설치 신작으로 참여했다. 단순한 흥미 거리를 넘어 ‘의미 있는 볼거리’가 생긴 셈이다.
● ‘불호’ 관객 있어도 좋아
‘거의 정보가 없는 전시’에서 가려졌던 작가 이름, 작품 제목을 지워 내는 모습. 부산현대미술관 제공
과거에 큐레이터는 작품을 연구, 보존하고 잘 배열하는 역할로 생각했지만 시간이 갈수록 그 인식은 달라지고 있다. 영국 글래스고미술관에서는 전시가 취소되자 텅 빈 미술관 자체를 전시해 관객이 마음대로 사용하도록 한 사례도 있다. 이전엔 미술에 대한 지식을 ‘알려주는’ 것이 큐레이터라 생각했다면 요즘은 다양한 관객과 최대한 연결고리를 만들어 소통하는 것도 중요한 덕목으로 여겨진다.
소셜 미디어 화면을 종이와 손글씨를 재구성한 토머스 허쉬혼의 설치 작품이 ‘능수능란한 관종’전에 전시된 모습. 부산현대미술관 제공
부산=김민 기자 kimm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