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엔탈정공
부산 강서구에 위치한 ㈜오리엔탈정공 전경.㈜오리엔탈정공 제공
주력 사업인 선박 크레인 사업 부문과 데크하우스 사업 부문이 같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 매출 비중은 선박 크레인 부문 586억 원(38.9%), 데크하우스 부문 918억 원(61.0%)으로 나뉘어 있다. 특히 삼성중공업 주력 협력사로서 공급하는 데크하우스 부문이 급성장세를 보이며 2022년 616억 원, 2023년 927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올해 3분기에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3분기 기준 데크하우스 생산량은 11척분으로 전년 대비 2척 증가했다.
회사 관계자는 “내년도 물량도 올해와 같은 수준이며 2027년까지 한국 조선소 물량이 확보된 상황”이라며 “향후 2∼3년간 생산량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요 고객사인 삼성중공업의 실적 개선과 LNG선,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 등 고수익 선종 수주 확대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극지용 크레인부터 특수 선용까지… 기술력으로 승부
㈜오리엔탈정공 임직원 단체사진.
연간 최대 1000대의 선박용 크레인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영하 52도의 극한 환경에서도 작동 가능한 쇄빙 LNG선용 크레인 개발에 성공하는 등 고난도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2m 두께의 얼음을 깨며 북극해를 항해하는 ‘ARC-7’ 등급 쇄빙선에 탑재되는 크레인을 독자 개발해 공급하고 있다.
주요 제품군은 선용품과 기계류 부품 적재용 프로비전 크레인, 유조선의 오일 호스 취급용 호스 핸들링 크레인, 벌크선용 데크 크레인 등이다. 또한 데크하우스와 엔진룸 케이싱 등 대형 구조물 제조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데크하우스는 선원들의 거주 시설로서 각종 생활설비와 운항장비가 설치되는 대형 철 건축구조물이며 엔진룸 케이싱은 주기관, 보조기관, 발전기, 보일러 등 핵심 기계류가 설치되는 기관실의 외벽 구조물이다.
‘성, 화, 신’ 정신으로 재도약
회사는 2012년 채권금융기관 공동관리라는 위기를 맞았으나 2014년 박세철 회장 취임 이후 본격적인 재건에 나섰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현장 직원 대부분을 휴직 처리하는 등 뼈를 깎는 고통이 있었지만 직원들의 자발적 동참과 협력사들의 증자 참여로 2016년 워크아웃을 성공적으로 졸업했다.
회사는 ‘성(誠), 화(和), 신(信)’의 사훈 아래 투명 경영과 상생 협력을 실천하고 있다. 특히 35년간 무분규 사업장을 유지하며 모범적 노사관계를 구축해 온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업계에서 가장 먼저 정년 65세 연장을 제안했으며 63세까지는 임금피크제를 적용하지 않는 등 직원 친화적 정책을 도입했다.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2024 노사문화대상’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박 회장은 활발한 사회공헌 활동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2022년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1억 원을 기부하며 ‘나눔명문 기업’에 이름을 올렸으며 한국해양대, 부산대, 동아대에 각각 1억 원의 장학금과 발전기금을 지원하고 있다. 부산적십자사에도 매월 정기 기부하며 ‘씀씀이가 바른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다.
최근에는 ‘ORIENTAL CHARITY24 마라톤’을 개최하고 임직원 140명이 참여해 1㎞당 10만 원씩 기부하는 방식으로 총 565㎞를 달성해 5650만 원의 기금을 조성했다. 이 기금은 난치병 어린이, 미혼모, 소아 희귀병 환우 지원에 전액 사용됐다.
“품질-신뢰 경영으로 세계 최고 기술 기업 실현”
[인터뷰] 박세철 ㈜오리엔탈정공 회장
박세철 ㈜오리엔탈정공 회장. ㈜오리엔탈정공 제공
부산 강서구 녹산산단에 위치한 오리엔탈정공 본사에서 만난 박세철 회장은 조선 기자재 산업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일반 크레인을 넘어 너클 크레인, 텔레스코픽 크레인 등 특수 크레인을 개발해 미 해군 필라델피아 조선소에도 납품하고 있다”며 “해외 수출 확대와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회장은 “워크아웃 당시 협력사들은 계속 일할 수 있도록 배려했고 직원들은 주인의식을 가지고 재건에 앞장서줬다”며 “나눔은 공동체가 살아가는 가장 현명한 방법이며 기업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이익을 환원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대재해처벌법과 관련해서는 “산업 현장의 재해 방지를 위한 권한과 책임 부여는 중요하지만 무조건적인 처벌 강화는 기업 활동 위축은 물론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현장 상황에 맞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신아 기자 sin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