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BOK이슈노트 분석…코로나 후 ‘칩(cheap)플레이션’ 뚜렷 고급보다 가성비 제품값 인상률↑…3년간 16.4% 대 5.6% 수준
(자료사진) / 뉴스1
“서민용 ‘저렴이’ 제품 가격은 16.4% 치솟았는데, 부유층이 주로 소비하는 고가 제품 상승률은 5.6%뿐…”
코로나19 확산 이후 서민들이 주로 구매하는 저렴한 제품들의 가격 상승 폭이 고급 제품 상승 폭을 크게 웃돌면서 서민들이 느끼는 고물가 타격이 부유층보다 3배 정도 심각했을 것이라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나왔다.
한은이 18일 공개한 ‘팬데믹 이후 칩플레이션(Cheapflation)과 인플레이션 불평등’ 제하의 BOK이슈노트 보고서에는 조사국 물가동향팀 소속 조강철·위승현의 이 같은 분석 결과가 담겼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대유행 후 우리나라에서는 저렴한 상품의 가격이 더 크게 오르는 이른바 칩플레이션이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2020년 1월~2023년 9월 기간 중 누적 상승률을 살펴본 결과, 같은 품목 가운데 가격이 하위 25%(1분위)인 저가 상품의 가격 상승률은 16.4%로, 상위 25%(4분위)인 고가 상품의 상승률은 5.6%로 나타났다.
특히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을 보면 코로나 이전에는 분위 간 상승률의 격차가 미미했으나 이후 물가 급등기에는 저가-고가 상품 간 상승률 격차가 크게 확대되는 칩플레이션이 관찰됐다.
반대로 지난해부터는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면서 이전 기간 크게 올랐던 1분위 상품의 가격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둔화, 상승률 격차가 축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저소득층이 더 고통받는 칩플레이션은 물가 급등기에 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 통화정책으로 전체적인 물가 안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결국 저소득층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길”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정부 정책의 경우 향후 고물가 시기에 중·저가 상품의 가격 안정에 집중함으로써 취약계층 부담을 완화할 필요가 있고, 해외 공급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할당 관세나 가격 급등 품목에 대한 할인 지원 시 중·저가 상품을 선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