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소득이동통계 첫 발표 1년새 계층 상승한 국민 18%뿐… 10명중 1명은 소득 절반 깎여 노인 빈곤층 81% 5년째 못벗어나… “韓 사회 계층이동성 정체된 수준”
1년 새 소득이 늘어 ‘부(富)의 사다리’에서 한 계단 더 올라선 국민은 5명 중 1명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고 본격적으로 소득을 불려 나가야 할 청년들은 오히려 5명 중 1명꼴로 전보다 더 낮은 소득계층으로 떨어졌다. 빈곤의 늪에 빠진 고령층 대부분은 5년이 지나서도 빈곤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 10.5%는 1년 새 소득 절반 넘게 하락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15∼39세) 5명 중 1명 이상(23.0%)이 1년 새 소득계층 상승을 경험했다. 하지만 소득계층이 뒷걸음질한 청년도 전체의 18.0%나 됐다. 밥벌이를 시작해 소득을 늘려가야 할 때지만 적잖은 청년들이 기대와 달리 오히려 더 가난해진 것이다. 대기업, 중소기업 간 일자리 질 격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청년들이 계층 상승을 꿈꾸기 어려워진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 사회의 계층 이동성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정체된 수준이다. 2022년 캐나다에서는 경제활동 인구의 32.5%가 1년 전보다 소득분위가 뛰었다. 낮아진 경우는 19.2%에 그쳤다. 다만 통계청은 “캐나다의 경제, 사회적 환경 등이 한국과 달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절대적인 소득금액으로 보면 2022년 기준 1년 전보다 소득이 5000원 이상 하락한 사람은 32.9%였다. 이는 명목소득 기준으로, 물가상승률을 걷어낸 실질소득이 쪼그라든 비율은 이보다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 특히 전체의 10명 중 1명(10.5%)은 소득이 1년 만에 절반 이상 깎였다.
● 10명 중 3명은 5년 내내 빈곤층
빈곤층이 긴 시간 같은 계층에 머무르는 건 특히 노년층에서 두드러졌다. 2017년 소득 하위 20%에 해당하는 65세 이상 노인 80.6%는 5년이 지난 2022년에도 소득 하위 20%에 머물렀다. 청년층은 15.2%만이 빈곤층에 남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청년층의 경우 노동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면서 소득계층 상향 이동을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데 5명 중 1명이 하향 이동하고 있다는 것은 청년층의 노동시장 여건이 매우 안 좋다는 의미”라며 “고령화 역시 사회 전체적인 역동성 저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송혜미 기자 1a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