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사고 난 보잉737-800 기종은… ‘단거리 대표 기종’ 국내 101대 운용 15년 운항, 최신 기종으로 교체중… 中-인도서 최근 5년간 추락사고 제주항공, 6년간 과징금 37억 내… “항공기 이상 징후 없지만 책임 통감”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 사장이 29일 오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에서 ‘전남 무안공항 항공기 참사’와 관련 브리핑을 마친 후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4.12.29. 뉴시스
항공기술정보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국내 항공사들이 보유한 보잉 737-800 항공기는 총 101대다. 제주항공이 39대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고 티웨이항공 27대, 진에어 19대, 이스타항공 10대, 에어인천 4대, 대한항공 2대 등이다.
사고 항공기는 2009년 9월 제작됐다. 기령(비행기 나이)이 15년 정도로 오래되지는 않았다. 제주항공은 중고 기체를 2017년 2월 임차 방식으로 도입해 운영해 왔다. 다만 1997년 제작이 시작된 보잉 737-800은 현재 단종된 상태라 글로벌 항공사들은 점차 최신 기종으로 바꿔 가는 추세다.
일각에선 제주항공이 항공기 관리를 소홀히 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국토교통부의 ‘항공안전법상 국적사 과징금 처분 현황’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제주항공이 납부한 과징금은 37억3800만 원이다. 국내 항공사 중에 제주항공이 가장 많은 액수를 냈다.
사전 징후가 있었다는 주장도 나왔다. 사고가 나기 이틀 전인 27일 제주항공 7C2216편을 이용한 한 승객이 “시동이 몇 차례 꺼져 불안해 승무원에게 이야기했다”고 밝힌 사실이 이날 뒤늦게 알려졌다. 다만 제주항공 측은 여객기 시동 꺼짐 현상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한 상태다. 앞서 2022년 제주항공 여객기가 일본 오사카 간사이 공항에서 조류 충돌로 인한 엔진 사고로 회항한 사건이 또다시 지적되기도 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보잉 737-800은 오랜 기간 글로벌 항공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모델 자체의 문제는 아닐 가능성이 높다”며 “그럼에도 해당 모델을 운용하고 있는 각 항공사에서 기체에 대한 특별 점검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방당국 등 사고 수습 관계자들이 29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착륙 도중 활주로 외벽과 충돌해 크게 파손된 제주항공 여객기의 조종석으로 추정되는 동체 주변을 수색하고 있다. 무안=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는 이날 긴급 기자회견에서 “정비 프로그램에 따라 지속적으로 정비하고 있고 이 (사고) 항공기에 이상이 있었던 징후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2022년 간사이 공항 사건’과의 연관성을 묻는 질문에는 “그것과는 전혀 관계없다”고 말했다. 제주항공 모회사인 애경그룹은 이날 사과문을 내고 “그룹 차원에서 총력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고기는 약 10억 달러(약 1조5000억 원)의 배상책임보험에 가입돼 있다.
한재희 기자 hee@donga.com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