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커지는 ‘버드 스트라이크’ 포비아… 무안공항 조류퇴치 인력 4명 그쳐 청둥오리 등 6종 충돌 위험 3단계… 김포는 23명, 김해는 16명 근무 14개 공항 5년간 조류충돌 559건… 열화상탐지기 설치 3곳-레이더 ‘0’
무안공항 인근 철새떼 무안 제주항공 참사 다음 날(30일) 오전 8시 전남 무안국제공항 근처에 기러기 등 철새 떼가 날아다니고 있다. 당국은 이번 여객기 추락 참사가 ‘버드 스트라이크(새 떼 충돌)’에서 시작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무안=변영욱 기자 cut@donga.com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의 원인을 조사 중인 정부가 30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의 조류 예방 활동 인력이 4명인데, 사고 당일에는 2명이 있었다”고 밝혔다. 공항 안전을 위한 조류 퇴치가 부실하게 운영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전국 주요 공항이 철새도래지 인근에 위치해 있고 조류 충돌 사고, 일명 ‘버드 스트라이크’가 증가하는 추세인 가운데, 이를 막기 위한 인력과 설비는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 2019년부터 14개 공항 559건
“오늘 낮에도 가게 옥상에서 바닷가를 바라보는데 청둥오리 두 무리가 떼 지어 날더라.” 무안공항 인근에 사는 이모 씨(49)가 말했다. 그는 “무안공항 주변에서는 철새를 쉽게 볼 수 있다. 그게 그렇게 큰 위험인 줄 몰랐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30일 정부 중앙사고수습대책본부의 발표에 따르면 무안공항은 조류 예방 활동 인력을 주중 2명, 주말 1명만 운용했다. 공항별 조류 퇴치 인원은 김포 23명, 김해 16명, 제주 20명, 대구 8명, 광주 4명, 무안 4명, 사천·원주 2명 등이다. 무안의 경우 김포의 10분의 1도 안 되는 셈이다.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항국공항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한국공항공사가 관리하는 14개 공항(김포·김해·제주·청주·대구·광주·울산·양양·여수·무안·사천·포항경주·군산·원주)에서 버드 스트라이크가 총 559건 발생했다.
● 열화상 탐지기 3곳뿐
주변에 을숙도, 화포천 등 철새도래지를 두고 있는 부산 김해국제공항은 조류 퇴치 인력 16명이 3개 조로 나눠 공포탄을 쏘거나 폭음경보기를 트는 식으로 조류를 쫓고 있다고 밝혔다. 남창희 김해공항장은 “조류 퇴치 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5명 안팎의 인원을 추가 채용해 다음 달 현장에 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주공항도 조류 퇴치 인원을 대폭 늘렸다. 30일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에 따르면 무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직후인 29일부터 4명, 4교대로 운영하던 조류 퇴치 요원을 6명 3교대로 확대했다. 내년부터는 7명, 3교대로 더 늘릴 예정이다. 한국공항공사는 “조류 충돌 예방 활동 강화가 시급한 공항에 전담 인원 추가 정원(43명)을 확보해 내년 상반기(1∼6월)까지 채용 배치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여전히 우려가 큰 게 사실이다. 인력뿐 아니라 조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각종 장비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무안공항에는 조류 충돌 예방 설비인 조류 탐지 레이더와 열화상 탐지기 등 설비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국내 15개 공항 가운데 조류 탐지 레이더가 설치된 곳은 한 곳도 없었다. 열화상 탐지기가 설치된 곳은 김포·김해·제주공항 3곳뿐인 것으로 파악됐다.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운항 중인 항공기에 새가 충돌하면서 생기는 항공 사고. 주로 이착륙 과정에서 발생하며, 900g 정도의 새 한 마리가 부딪칠 때 항공기가 받는 순간충격은 약 4.8t에 달한다. 새가 엔진 속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비행기가 고장 나기도 한다.
무안=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부산=김화영 기자 run@donga.com
차준호 기자 run-jun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