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환경, 사회, 지배구조)는 기업의 새로운 경영 전략이다. 국내외 극심한 혼란 속에서 변화와 혁신을 위한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다. 불평등·양극화 해소, 저출산 고령화 극복, 기후위기 해결, 지방소멸 대응, 주거·일자리 확충, 소통·통합의 정착을 위해서는 ESG를 국가적으로 확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ESG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래리 핑크 최고경영자(CEO)가 2020년 1월 투자자들과 기업 CEO들에게 보낸 연례 서한에서 비롯됐다. 그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투자 결정의 기준으로 삼겠다”고 선언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를 장기적인 투자의 리스크로 보고 투자 결정 요인으로서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핑크 CEO의 서한을 신호탄으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면서 ESG라는 경영 전략이 세계적 관심사로 떠오르게 된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 국민들에게는 아직 ESG가 낯설다. ‘환경’은 이해가 가지만 ‘사회와 지배구조’는 일상생활과 동떨어진 것처럼 보이는 탓이다. 그렇다면 ESG를 환경 측면에서만 접근해 보는 것도 방법이다. 각 개인의 조그마한 노력으로 환경 파괴를 막고 지속가능성의 경영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관광공사의 사례를 참고해볼 만하다.
새해엔 다른 공기업은 물론이고 사기업에서도 점진적으로 실천 방안을 확대해 보는 건 어떨까.
※동아일보는 독자투고를 받고 있습니다. 각 분야 현안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이름, 소속, 주소, 휴대전화 번호 등 연락처와 함께 e메일(opinion@donga.com)이나 팩스(02-2020-1299)로 보내주십시오. 원고가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합니다.
김수인 한국관광공사 비상임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