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山을 바라보다, 神을 마주하다[여행스케치]

입력 | 2025-01-04 03:00:00


“타이가르, 타이가르.”

12인승 승합차 운전사가 오른쪽 창밖을 바라보며 짧게 말했다. 새벽 미명(未明)에 덜 깬 눈을 비비며 내다봤지만 어둠뿐이다. 운전석 뒤 탑승객이 “뭔가 길옆 수풀 속으로 움직인 것 같다”고 했다. 타이가르, 타이거(tiger), 호랑이였다. 네팔 제2의 도시 포카라 ‘사랑곳 전망대’로 일출을 보러 가는 꼬부랑 산길. ‘산신(山神)이 마중을 나온 건가….’ 2024년 12월 8일 오전 5시 50분을 막 넘어섰다.

지난해 12월 8일 동틀 녘 네팔 포카라 ‘사랑곳 전망대’에서 바라본 안나푸르나 연봉. 동쪽에서 해가 떠오르자 왼쪽 안나푸르나 1봉과 남봉 쪽이 연붉게 물들었다. 포카라=민동용 mindy@donga.com



● 산을 바라보기, 신을 마주하기

표고(標高) 1600m에 육박하는 사랑곳 전망대 아래 주차장 카페에서 차를 마신다. 해가 뜨려면 20여 분 남았다. 카페 주인이 전망대 너머 하늘을 올려다보더니 말한다. “러키(운이 좋다).” 안나푸르나 산군(山群)을 숨겨 왔던 안개가 오늘은 진하지 않을 듯하다는 얘기다.

포카라는 안나푸르나 트레킹 여행자 대부분이 출발하는 곳이다. 이 전망대에서는 해발 8091m 안나푸르나 1봉을 비롯해 7000m, 6000m급 연봉(連峯)을 볼 수 있다. ‘거기에 일출까지?’ 흐뭇한 상상에 빠지며 전망대로 향하는 계단을 올라갔다.

히말라야는 동서로 약 2500km 뻗어 있다. 그러니까 해가 히말라야 위로 뜨지는 않는다. 동쪽에서 떠오른 해는 봉우리들을 연붉은색에서 서서히 벌겋게 물들이다가 곧 중천으로 향한다. 다만 그런 날이 안개가 많이 끼는 지금 같은 건기(乾期)에는 드물다. 카페 주인 예상과는 달리 이날도 그런 것 같았다. 떠오르는 해도 먼지 같은 수증기 속에서 희미하다. 봉우리들은 안개가 감싸고 있다.

네팔 포카라 ‘사랑곳 전망대’에서 바라본 일출. 포카라=민동용 mindy@donga.com

태양이 어느 정도 솟아오르자 어깨동무한 설산(雪山)들이 드디어 나타난다. 며칠 밤낮을 쉬지 않고 걸어야 하는 거리지만 손 내밀어 휘저으면 닿을 것 같다. 상상 이상으로 시야가 트인다. 삶의 지경(地境)이 팽창한다.

네팔 포카라 ‘사랑곳 전망대’에서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연봉을 바라본다. 가운데 뾰족 솟은 마차푸차레 왼쪽으로 안나푸르나 1봉과 남봉, 오른쪽으로 3봉, 4봉, 2봉이 각각 보인다. 포카라=민동용 mindy@donga.com

히말라야 8000m급 이상 봉우리 16좌(座)를 모두 오른 엄홍길 대장은 “8000m 이상은 죽음의 지대다. 자신의 한계를 벗어나는 것이다. 산의 신(神)이 받아줘야 한다”고 했다. 그는 안나푸르나를 후배와 셰르파를 잃어가며 5번 도전한 끝에 올랐다.

‘절대 존재’ ‘진리와 불멸의 상징’ 히말라야에서의 사투(死鬪)와 전망대에서의 조망을 견줄 순 없다. 엄 대장의 ‘산이 곧 나고, 내가 곧 산이다’ 같은 경지는 언감생심(焉敢生心)이다. 그러나 아무 생각 없이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벅차다.

1924년 에베레스트를 오르다 실종된 영국의 조지 맬러리는 생전 인터뷰에서 ‘왜 산에 오르는가’라는 질문에 “그것이 거기 있으니까”라고 했다. 소설 ‘신들의 봉우리’(유메마쿠라 바쿠 지음·이기웅 옮김·리리·2020년)에서 전설의 산악인은 답한다. “내가 여기에 있으니까.”

안나푸르나 산들 가운데쯤 삼각형 모양 마차푸차레(6997m)가 우뚝 서 있다. 네팔 말로 ‘물고기 꼬리’라는 뜻이다. 서쪽 안나푸르나에서 보면 봉우리가 꼬리지느러미처럼 ‘U’자 형태를 띠고 있단다. 네팔 정부는 ‘신(神)이 깃든 곳’이라며 등반을 금지하고 있다. 미답봉(未踏峯)이다. 카메라 줌을 당기면 봉우리 밑 움푹 팬 곳이 안온한 자궁처럼 보인다.

마차푸차레(6997m)가 동녘 빛을 받아 붉으스름해졌다. 포카라=민동용 mindy@donga.com

수도 카트만두 공항에서 서쪽 포카라로 오는 25분여의 비행 중 오른쪽으로 7000m급 설산 연봉이 보인다. 남동쪽 바드라푸르로 가는 약 40분 비행 중 왼쪽으로 좀 더 멀리 에베레스트, 칸첸중가 같은 8000m급 산들을 볼 수 있다.

전날 포카라로 오는 비행기는 예정 시간보다 5시간가량 늦게 출발했다. 안개 때문이었다. 안절부절 짜증을 내며 기다렸다. 네팔 사람들은 평온해 보였다. 안나푸르나를 바라보며 깨달았다. 빨리 오든 늦게 오든 산은 늘 기다려 준다. 신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 걷고, 돌고, 기도하고, 기다리다

개 짖는 소리에 눈을 떴다. 오랜만이다. 한라산(1950m)보다 높은 5개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카트만두는 아침부터 매연이 자욱하다. 많은 사람이 길을 나선다. 사람과 차와 오토바이와 드문드문 자전거가 찻길에서 종으로 횡으로 북적거린다. 샛길과 골목길로 개가, 소가, 닭이, 양이, 원숭이가 부대낀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동물, 사람과 오토바이, 사람과 차가 닿을 듯 말 듯하다.

네팔 수도 카트만두 도심 저 너머로 히말라야 설산이 보인다. 카트만두=민동용 mindy@donga.com

인구 3100만 명 가운데 힌두교도가 81.2%, 불교도가 8.2%다(미국 CIA 팩트북, 2024년 기준). 그러나 두 종교의 교리와 설화가 섞이거나 절충한 것이 적지 않다. 이를 반영하듯 카트만두에는 힌두교 사원과 불교 사리탑(스투파)이 섞여 있다.

보다나트 스투파에서 사람들은 탑을 시계 방향으로 돈다. 보다나트의 ‘보다’는 깨달음이라는 뜻이다. 깨달음이 쉽지 않기에 기도하고, 간구하고, 생각을 떨쳐내고 경전이 든 원통인 마니차를 손으로 돌리며 걷는다. 탑돌이는 “중심으로 들어가는 행위가 아니라 주변을 걸으며 중앙에서 나오는 성스러운 에너지를 받아들이고 느끼는 동작”이다.(‘히말라야의 맹주 네팔 히말라야―카트만두 편’·임현담 지음·종이거울·2016년)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 있는 보다나트 스투파. 부처의 눈이 모든 고민과 번민과 불안을 꿰뚤어 보고 있다. 카트만두=민동용 mindy@donga.com

네팔의 스투파는 우리나라 왕릉 같은 하얀 반구 위에 직육면체가 있고 그 위에 원추 13개가 양산을 받친 형태다. 육면체 각 면에는 모든 실체를 보는 부처의 눈이 그려져 있다. 탑 꼭대기에서 기도문이 적힌 검정 하양 빨강 노랑 녹색 깃발 룽따(혹은 다르초)가 만국기처럼 바닥까지 내걸려 있다. 임 작가에 따르면 ‘탑은 고통받는 중생의 마음을 묵묵히 받아 준다, 산처럼.’

스투파 주위를 3층짜리 상가들이 둘러싼다. 서울 종로 탑골공원도 1960년대에는 울타리 대신 2층 아케이드가 둘러싸고 있었다. 스투파를 에워싼 건물들이 낯설다. 건물들이 촘촘히 서 있다. 한 건물 외벽이 옆 건물 외벽과 붙어도 있다. 틈이 거의 없다. 신도 부대끼는 서민의 삶 속에 있는 것 같다.

보다나트 스투파를 에워싸고 있는 상가들. 촘촘히 붙어 있다. 카트만두=민동용 mindy@donga.com

중세부터 18세기 중반까지 네팔을 다스린 말라 왕조의 유적 도시 바크타푸르도 신에 대한 사랑과 헌신을 발한다. 한때 172개나 있었다는 힌두교 사원들이 광장 세 곳을 중심으로 곳곳에 서 있다.

말라 왕조의 유적 도시 바크타푸르. 카트만두=민동용 mindy@donga.com

18세기 초에 지은 5층짜리 나타폴라 사원(높이 약 30m)은 카트만두에서 가장 높다. 분노한 시바 신의 아내 바이라비 신을 모시는 이 사원에 오르려면 계단을 수십 개 올라야 한다. 계단 양쪽으로 레슬러, 코끼리, 사자, 그리핀, 그리고 여신 석상이 2개씩 사원을 호위한다. 석상 하나를 오를 때마다 힘은 10배 커진다. 여신은 그리핀보다 1000배 힘이 세다.

말라 왕조의 유적 도시 바크타푸르에 있는 5층짜리 나타폴라 사원. 높이 약 30m로 카트만두에서 가장 높다. 카트만두=민동용 mindy@donga.com



● 죽음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

12일 저녁 네팔에서 가장 큰 힌두교 사원인 파슈파티나트 사원 건너편 계단으로 육중한 검은 소가 걸어 올라온다. 시바 신이 사슴으로 변해 뛰놀았다는 사슴동산 쪽이다. 몇십 분 전까지 사원 입구에서 무언가 먹고 있던 소다.

파슈파티나트 사원은 성지(聖地)이자 화장터다. 사원과 사슴동산 사이로 카트만두 중심을 지나는 바그마티강이 흐른다. 강변에 화장대(火葬臺)들이 일렬로 놓여 있다. 부유하든, 가난하든 네팔 힌두교도라면 언젠가 이곳에 와야 한다. 죽음은 공평하다. 다만 상류에서는 돈 있는 자, 하류에서는 빈곤한 자가 태워질 뿐이다.

파슈파티나트 사원은 성지(聖地)이자 화장터다. 사원과 사슴동산 사이로 카트만두 중심을 지나는 바그마티강이 흐른다. 장례 행렬이 흰 천으로 감싼 시신의 발을 씻기기 위해 강가로 내려와 있다. 카트만두=민동용 mindy@donga.com

장례 행렬이 왔다. 수의(壽衣)처럼 흰 천으로 감싼 시신을 나무판에 얹어 강으로 내린다. 영혼이 정수리에서 잘 빠져나가도록 발을 강물에 적신다. 화장대 장작 위에 시신을 놓고 버터(기름)를 흠뻑 뿌린다. 얼굴 덮은 천을 걷어 아들이 시신의 감긴 눈에 불을 붙인다.

파슈파티나트 사원 화장대 장작 위에서 시신이 타고 있다. 카트만두=민동용 mindy@donga.com

검은 소가 어디로 갔는지 보이지 않는다. 불교의 심우도(尋牛圖) 속 그 소 아닐까, 문득 생각한다. 소는 내 마음이다. 네팔 인사말 ‘나마스테’는 ‘당신에게 귀의하다’는 뜻이다. ‘내 안의 신성이 당신 안의 신성을 경배한다’는 뜻이다. 내 마음은 당신에게 있는지도 모르겠다.



카트만두·포카라=민동용 기자 mind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