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따라 ‘건강 수명’ 양극화 고소득층 75세-최하위층 66세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소득계층을 1분위(최저)∼5분위(최고)로 구분했을 때, 2020년 5분위의 건강수명은 74.88세로 1분위의 66.22세보다 8.66년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격차는 2008년 7.94년에서 2012년 6.72년으로 줄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윤 교수는 “소득이 적을수록 건강을 돌볼 시간이 부족하고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며 “소득 하위층을 대상으로 건강 바우처를 지급하는 등의 정책을 펴야 한다”고 말했다.
‘건강수명’도 양극화 심화… 소득별 격차 8년새 2년 커져
수도권-지방 격차도 갈수록 확대
‘건강하지 못한 노년’ 12.7년 보내
“건강 불평등 해소 복지정책 필요”
중견 기업을 운영 중인 강모 씨(58)는 아무리 바쁘더라도 일주일에 5회 이상 서울 강동구 집 근처 공원을 5km씩 달린다. 주말에는 모임을 만들어 골프나 등산도 꾸준히 다닌다. 최근에는 젊은층에서 유행 중인 ‘저속 노화’에 관심이 생겨 식단도 노화를 늦추는 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건강식 위주로 바꿨다. 강 씨는 “지난해 건강검진에서 신체 나이가 실제보다 5년가량 젊게 나왔다.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늙어가는 것이 인생의 가장 큰 목표”라고 말했다.‘건강하지 못한 노년’ 12.7년 보내
“건강 불평등 해소 복지정책 필요”
강 씨처럼 건강한 노후를 위해 노력하는 국민이 많아지면서 한국인의 건강수명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다만 소득계층별 건강수명 격차도 9년 가까이 벌어져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의료 및 복지정책 확대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건강수명은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보내는 시기를 말한다.
● 소득 상위 20% 건강수명 75세
2008년과 비교해 보면 당시 소득 5분위 건강수명은 71.76세였고, 소득 1분위는 63.82세였다. 12년 동안 고소득층의 건강수명이 3.12년 늘어난 반면 저소득층은 2.4년 늘어나는 데 그쳤다. 건강수명의 지역 간 격차도 커졌다. 전국 시군구 250곳의 건강수명 상위 5%와 하위 5% 건강수명 격차는 2008년 5.93년에서 2020년 6.89년으로 늘었다. 특히 서울 등 수도권의 소득이 높은 지역 주민들의 건강수명은 상당수가 71.82∼77.54세로 고른 상위 분포를 보였다.
소득에 따라 건강수명이 달라지는 가장 큰 원인은 경제적 능력에 따라 건강에 투자하는 시간과 노력도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이는 건강 지표에서도 드러난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여성 인구 10만 명당 암 발생률은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격차가 2018년 97.3명에서 2021년 117.4명으로 20.1명 더 늘었다. 남성은 같은 기간 78.3명에서 79명으로 0.7명 늘었다. 또한 2022년 소득 하위 20%의 비만 유병률은 40.3%로, 상위 20%(32.8%)보다 7.5%포인트 높았다.
● 건강하지 않은 노년 12.7년
건강수명 (Healthy Life Expectancy·HALE)기대수명에서 질병 또는 장애를 가진 기간을 제외한 수명을 말한다.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특별한 이상 없이 생활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박성민 기자 m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