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연평균기온 14.5도로 평년 대비 2도 높아 열대야도 24.5일로 평년 3.7배…고기압 발달 탓 51년 만에 처음으로 2월 강수량이 8월 넘어서 여름 강수량 적지만 78.8%가 장마철에 집중돼
절기상 처서를 나흘 앞둔 19일 오전 제주시 용담이동 거리에 가을 꽃인 코스모스가 피어나 시선을 끌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제9호 태풍 ‘종다리’의 북상과 맞물린 수증기 유입 영향으로 당분간 무더위는 계속될 전망이다. 2024.08.19 뉴시스
지난 2024년이 우리나라의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후 113년 역사를 통틀어 가장 더운 해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지난해 기온과 강수량 등 특성에 대한 2024년 연 기후분석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연평균기온은 14.5도로 평년(12.5도) 대비 2도 높았다. 종전 1위를 기록했던 2023년(13.7도)보다도 0.8도 높아 기상관측망이 전국적으로 확충된 1973년 이후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월 평균기온 역시 모두 평년보다 높았고, 5개 달(2·4·6·8·9월)에서 역대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여름철 고온이 이례적으로 9월까지 이어지며 9월 기온은 24.7도, 평년 대비 편차는 +4.2도로 열두 달 중 가장 큰 편차를 보였다.
열대야가 9월까지 이어지면서 연간 열대야일수는 역대 가장 많은 24.5일로 평년(6.6일) 대비 약 3.7배에 달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기온을 높인 주요 기후학적 요인을 살펴보면 높은 해수면온도, 티베트고기압, 북태평양고기압 등 고기압의 발달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에는 우리나라 해역을 비롯한 북서태평양의 해수면온도가 연중 평년보다 높아 해상을 통해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켰다. 여름철 북태평양고기압은 우리나라 주변 따뜻한 해상에서 더욱 강화됐다.
북인도양에서도 해수면온도가 높았다. 이 해역에서 활발히 상승한 공기는 대류권 상부(고도 약 12㎞)에 티베트고기압을 발달시켰고, 이 고기압이 우리나라까지 확장하거나 우리나라 동쪽에 고기압을 유도했다.
지난해 연 강수량은 1414.6㎜로 평년(1193.2㎜~1444.0㎜)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다만 시기별로 강수량 경향은 평년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1973년 이래 처음으로 2월 강수량이 8월 강수량보다 많았다. 지난해 8월은 우리나라까지 확장한 티베트고기압(고도 약 12㎞ 상공)뿐 아니라 북태평양고기압(고도 약 5.5㎞ 상공)까지 우리나라 상공을 동시에 덮으면서 고기압권에서 비가 적게 내렸다. 2월에는 우리나라 동쪽에서 발달한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다습한 남풍이 불며 비가 잦았다.
여름철 강수량은 602.7㎜로 평년(727.3㎜) 대비 82.5% 수준으로 적었다. 다만 여름철 강수량 중 78.8%(474.8㎜)가 장마철에 집중됐다. 1973년 이래 가장 큰 비율이다.
장마철 동안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유입된 다량의 수증기와 절리저기압에 동반된 찬 공기가 정체전선 주변에서 충돌하며 대기 불안정이 강화됐고, 중규모 저기압까지 발달시키며 더욱 강한 비가 내렸다. 이 기간 동안 9개 지점에서 시간당 강수량이 100㎜ 이상을 기록했다.
2024년 우리나라 해역 해수면온도는 18.6도로 최근 10년(2015~2024년) 평균(17.3도)보다 1.3도 높았다. 최근 10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9월 해수면온도(27.4도)는 최근 10년 평균(24.2도)보다 3.2도 높아 다른 달에 비해 편차가 가장 컸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