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 제공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로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원자재 조달 및 해외투자 비용 증가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025년도 사업계획 수립 시 현재 수준인 1450~1500원 범위로 원-달러 환율을 예측하고 적용한 기업은 10곳 중 1곳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5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요 대기업의 환율 영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들이 2025년도 사업계획을 수립하며 적용한 원-달러 환율은 1350~1400원 범위가 33.3%로 가장 많았다. 1300~1350원 범위가 29.6%로 두 번째로 많았다. 주요 대기업 10곳 중 6곳이 올해 사업계획에 1300원대 환율을 적용한 셈이다.
현재의 수준인 1450~1500원 범위로 원-달러 환율을 예측하고 적용한 기업은 11.1%에 불과했다. 1400~1450원 범위의 환율을 적용한 기업은 18.5%였다. 기업들은 사업계획 수립 시 적용한 환율과 실제 환율과의 격차가 발생함에 따라 사업계획과 환율 기준을 수정하며 환율 충격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12월 초 비상계엄 사태로 1430원대까지 오른 뒤, 같은 달 18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2025년 금리인하 횟수를 조정하겠다는 발표가 나오며 1450원을 돌파했다. 이후 27일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 표결 직후 1470원을 돌파했고, 현재까지 1450원대 환율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불안정한 환율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과제로는 ‘기업에 대한 외환 유동성 지원 확대’(63.0%)와 ‘긴급 시 외환시장 안정 조치 시행’(63.0%)을 가장 많이 꼽았다. 기업 차원의 대응책으로는 응답 기업의 74.1%가 ‘생산성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을 꼽았다. 이어 ‘수입선 다변화 및 저가 대체공급처 발굴’(37.0%), ‘선물환, 통화스왑 등을 활용한 환헤지 비율 확대’(33.3%), ‘핵심부품 및 원자재의 국산화 추진’(22.2%) 등으로 답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1997년 외환위기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충격은 컸으나 여진은 비교적 짧았던 반면, 지금의 환율 불안은 경기침체가 누적되어 온 과정에서 국내·외 리스크 충격이 겹친 상황이라 그 여파와 불확실성이 더욱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또 “불안정한 환율 상승이 자본 유출, 대외 신인도 하락 등 소위 ‘눈덩이 효과’로 확대되지 않도록 외환시장 안정화와 기업 유동성 지원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이 기회에 우리 경제의 과감한 체질 개선과 구조적 전환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곽도영 기자 now@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