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7일(현지시각)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에서 기자회견하고 있다. 2025.01.08 팜비치=AP/뉴시스
●‘틱톡 금지’ 반대 나선 트럼프
WP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직후 틱톡 금지법의 시행을 60~90일 유예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하는 걸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지난 대선에서 틱톡 금지를 반대해온 만큼 행정명령 등 여러 수단을 동원해 미국 내 틱톡 서비스를 유지하려 한다는 것이다.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후보자도 이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입장은 틱톡이 많은 미국인이 사용하는 훌륭한 플랫폼이고, 선거 기간에 훌륭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왈츠 후보자는 이어 “행정명령에 대해 미리 언급할 수 없지만, 우리는 이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한 여지를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트럼프 당선인이 행정명령만으로 공화당과 민주당 모두의 압도적 지지로 통과된 법의 시행을 막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 법무부 국가안보 고문인 앨런 로젠슈타인 미네소타대 교수는 WP에 “행정명령은 마법의 문서가 아니다”면서 “틱톡은 여전히 금지될 것이며 애플과 구글이 틱톡과 거래하는 것은 여전히 불법일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이 의회에 틱톡 금지법의 폐기를 촉구하거나 자신이 지명한 법무 장관에게 법을 집행하지 말라고 지시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스마트폰 화면에 나란히 배열돼있는 샤오홍수(왼쪽)과 틱톡 앱 아이콘. 출처: AP·뉴시스
●샤오홍수는 中 콘텐츠 검열 받아야
한편, 틱톡의 서비스 종료를 앞두고 미국 애플리케이션(앱) 다운로드 순위에서 샤오홍수가 1위를 차지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샤오홍수는 중국의 인스타그램으로 통하는 SNS 플랫폼이다. 샤오홍수 측은 “이틀(13~15일)만에 신규 이용자 수가 70만 명 늘었다”고 전했다.
실제 샤오홍수 앱이나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초기 화면에 ‘틱톡 난민(Tiktok refugee)’ 등의 해시태크를 단 서양인들의 게시물이 많이 올라와 있다. 이에 대해 중국 현지 매체들은 “틱톡커들의 중국 샤오홍수 유입은 틱톡 금지에 대한 항의의 뜻이며, 미국의 제재가 효과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보도했다. 일부에서는 중국과 미국과의 새로운 교류의 장이 열렸다고 이번 사례를 치켜세우고 있다.
벌써부터 새로 유입된 해외 이용자가 계정 사용을 정지당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X(옛 트위터)의 반중국 계정인 ‘리선생은 네 선생이 아니다’에는 자신의 계정이 일시 정지나 차단 됐다는 인증샷이 여럿 올라왔다. 이들은 자신의 사진에 짧은 영어 문구를 올리거나, 중국 네티즌의 댓글 질문에 답을 했을 뿐인데 계정 사용 정지 통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샤오홍슈 측은 중국어가 아닌 영어를 쓰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것에 대비해 ‘영어 콘텐츠 심사원’ 채용 공고를 냈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