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가 오는 2001년부터 국내에서 디지털 지상파 방송을 시작하기로 최근 방침을 발표함에 따라 앞으로 어떤 변화가 생길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우선 사용가능한 채널수가 엄청나게 많아져 방송국의 설립이 자유롭게 되고 시청자들의 채널 선택폭이 넓어진다. TV방식이 디지털로 전환되면 현재 기술로도 채널수가 최소한 4배 늘어나게 된다.
쌍방향 방송이 가능해져 영화나 뉴스를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선택해서 볼 수 있게 된다. 시청한 시간만큼 요금이 부여되는 「주문형 방송」도 등장한다.
디지털방송은 이동하면서 방송을 볼 때 진가가 나타난다. 차안에서 휴대용TV를 보더라도 집에서와 마찬가지로 깨끗한 화면을 볼 수 있다.
기존 방송에 비해 품질이 높은 것도 특징. 음질은 CD수준이고 화질은 데이터의 압축 정도에 따라 고선명TV(HDTV) 수준으로 올라간다. 이처럼 장점이 많은 디지털 방송이지만 막상 실용화에는 어려움이 적지 않다.
방송국의 카메라를 비롯한 제작장비와 송출시설 중계소등을 모두 현재의 아날로그방식에서 디지털방식으로 교체해야 한다. 여기에 소요되는 비용은 방송4사만 하더라도 수조원 규모.
일반 가정의 TV수상기나 FM라디오도 전부 새로 장만해야 한다.
〈김학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