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청문회]한이헌씨 『현철씨 대선후 3,4회 만나』

  • 입력 1997년 4월 24일 20시 27분


◇ 韓利憲 전청와대경제수석 ▼ 김현철씨와의 관계 한의원은 경제수석 재임기간중 한달에 두세차례 현철씨를 직접 만나 업무보고를 하지 않았느냐는 야당의원들의 추궁에 『전혀 그런 일이 없다』고 부인했다. 그는 지난 90년10월 현철씨를 처음 만나 대선전까지 한두 차례, 대선후 경제기획원차관과 경제수석을 지낼 동안 서너 차례 만났고 전화통화도 그 정도 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민정부 출범 이후 공정거래위원장 경제기획원차관과 경제수석 등 핵심요직을 거치며 고속승진하는 과정에서 현철씨의 도움을 받지 않았느냐는 추궁에도 정면으로 맞섰다. 한의원은 『金泳三(김영삼)대통령이 민자당 대표최고위원으로 있을 때부터 근 2년간 민자당 전문위원(1급)으로 있어 대통령이 나를 잘 아는데 왜 남의 조력을 받겠느냐』고 반문했다. ▼김현철씨 지역구 조정설 여야의원들은 총선당시 여론조사 등에서 밀리자 현철씨가 도와줘 지역구를 당초 희망했던 남구(일부 의원은 해운대구)에서 현재의 부산 북―강서을구로 옮기지 않았느냐고 따졌다. 그는 朴慶植(박경식)씨가 청문회에서 현철씨가 총선당시 신한국당 공천에 개입한 대표적인 사례로 한의원을 들었다는 의원들의 추궁에 당혹스런 표정을 지었다. 한의원은 그러나 야당의원들의 추궁에 『지역구민들이 서운하더라도 밝힐 것은 밝혀야겠다』면서 자신의 당초 희망 지역구는 부산 동구였다고 주장했다. 그는 95년12월 공천자로 내정된 이후 경제수석직을 물러나 부산으로 내려가 許三守(허삼수)의원의 지역구였던 동구에서 45일간이나 준비작업을 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당시 당의 사정 때문에 지역구를 옮길 수밖에 없었고 그때만 해도 북―강서을구는 인구가 적어 없어질 가능성이 높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달여동안 「표밭 다지기」 사전 준비작업을 하다가 옮기려고 하니 자존심이 상해 당시 姜三載(강삼재)사무총장 李源宗(이원종)정무수석을 찾아가 『동구에서 한발짝도 물러날 수 없다』고 고집을 부리기도 했었다고 말했다. ▼대출외압 개입 여부 한의원은 『청와대 경제수석 재임시인 95년6월 산업은행 金時衡(김시형)총재에게 한차례 전화해 한보에 대한 대출을 부탁했다』고 밝혔다. 한의원은 『그때 홍인길총무수석의 부탁이다. 한보에 대한 대출을 적극 고려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전화는 외압이 아닌 순수한 부탁』이라며 전화를 건 시점이 95년6월이었으나 한보에 대한 4백억원의 대출이 이뤄진 시점은 2개월 뒤인 8월이었다는 점을 그 논거로 제시했다. 한의원은 『당시 산업은행은 2개월여에 걸쳐 한보에 대한 자금지원여부를 검토한 후 대출을 해 줬다』며 『산업은행측은 내가 전화를 했다는 사실도 잘 모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한의원의 주장에 대해 의원들은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 금융권에 대해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청와대 경제수석이 전화를 걸어왔다면 외압으로 느끼지 않겠느냐』고 추궁했으나 한의원은 끝내 영향력 행사사실을 부인했다. ▼대통령 준공식참석 권유경위 지난 95년6월 한보철강 당진공장 준공식 참석을 김대통령에게 건의한 사람이 누구냐에 대해 한의원과 朴在潤(박재윤)전통상산업부장관 金錫友(김석우)전청와대의전수석은 서로 엇갈린 주장을 하고 있다. 김의전수석과 한의원은 『통산부측의 요청에 따라 건의했을 뿐』이라고 주장했지만 박전장관은 『통산부에서 건의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었다. 한의원은 이날 『당시 경제수석실에서 대통령에게 한보 당진공장 준공식에 참석하라고 권유하지 않았느냐』는 의원들의 추궁에 『통상적인 진행 절차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며 당시 통산부의 요청으로 권유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의원은 『나도 그 문제가 제기된 뒤 박전장관 김전수석과 만나 얘기를 해봤다』며 『그러나 서로의 주장과 생각과 기억이 각각 달랐다』고 말했다. 한의원은 이어 『통상 대통령의 행사 참가는 관련부처의 건의에 따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결정한다』며 『이 과정에 대한 분명한 기억이 없다면 통상적인 절차에 따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鄭一基 전한보철강사장 ▼정태수씨 비자금 규모―조성방법 鄭一基(정일기)전한보철강사장은 鄭泰守(정태수)총회장이 당진제철소 공사대금을 부풀리거나 계열사간 내부거래를 통해 은행대출금을 유용, 비자금으로 조성했다는 의혹에 대해 『나는 재정본부에서 전표를 넘겨주면 회계처리만 했기 때문에 모른다』고 부인했다. 정전사장은 또 94년말까지 한보상사(정총회장의 개인회사)에 대여한 2천여억원을 92년 대선자금과 로비자금 등으로 사용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2천억원이란 액수는 장부상의 계수에 불과하며 실제로 대여한 것도 아니다. 80년부터 매년 이월된 어음할인료 등을 영수증이 없어 대여금으로 처리한 것일 뿐』이라고 강변했다. 그는 △노무비 과다계상 △강원동해시 석회석광산의 고가(高價)내부매각 등을 통해 한보상사 대여금 2천억원을 정리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일관되게 『비자금조성과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정전사장은 당진제철소 투자비(5조여원)중 3조8천억원만 집행되고 나머지 1조5천억원이 유용됐으며 이중 4천억원은 위장계열사나 해외법인으로 빼돌려졌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1조5,6천억원의 차이는 인정하지만 ㈜한보의 운영비가 계상되지 않았다』며 『유용된 돈은 검찰조사에서 드러난 2천여억원 외에는 모른다』고 말했다. 〈최영훈·이원재·윤영찬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