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가 끓여주시던 된장찌개처럼 깊은 맛이 납니다』
도서출판사인 현암사의 조근태사장(55)은 서울 인사동 툇마루집의 된장찌개를 두고 「된장예술」이라며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몇달전 직원들과 함께 이 집에서 회식한 뒤 된장찌개에 반해버렸다.
『요즘 음식이 인스턴트화하면서 생각도 그렇게 변해가는 것이 아닌가 걱정됩니다. 어쩌다 맛보는 별미요리보다 매일 해먹는 음식이 중요합니다. 이 집의 된장은 정성과 맛이 깃들어 있어 음식점에서 먹는 음식같지 않아요』
조사장 뿐만아니다. 툇마루집의 된장찌개 맛은 인사동 문화인들 사이에서도 유명하다. 주인 박중식씨가 아버지 고향인 함경도식으로 직접 담은 강된장으로 끓여내기 때문이다. 강된장은 다른 된장보다 물기가 적고 짠 편이지만 구수한 맛은 더하다. 여기에 돼지고기를 다져 넣고 고춧가루를 푼 뒤 두부와 풋고추 파를 넣어 국물이 잘박하게 한소끔 끓여낸다.
전남신안출신인 부인의 음식솜씨도 된장찌개 맛에 일조하고 있다. 장인이 하의도에서 직접 농사지어 공급해주는 「무공해」고춧가루만 사용한다. 된장에 고추장을 넣으면 찌개 맛이 텁텁해지기 때문에 고춧가루만 넣는다.
큰 대접에 밥을 담아주는데 된장찌개를 서너숟갈 떠 넣고 잘게 썬 부추와 치커리를 넣어 비벼 먹어도 맛있다. 빡빡하면 북어국을 떠 먹는다. 밑반찬으로는 장조림 열무김치 오이무침이 나온다. 된장찌개 1인분 4천5백원.
알이 밴 암게만 사용하는 간장게장과 함경도식으로 삭혀 만든 가자미식혜도 별미. 간장게장은 1인분에 8천원, 가자미식해는 한접시에 1만1천원. 저녁에는 막걸리도 파는데 가자미식혜와 잘 어울린다.
식당 여기저기 걸린 그림과 판화, 떡판으로 만든 밥상, 나무조각과 가야금 장구 등의 소품이 토속적인 분위기를 더해준다. 메뉴판이 국전초대작가의 글씨인 것도 인상적이다.
주차시설이 없어 인근 공영주차장을 이용해야 하며 인사동길이 일방통행이기때문에 안국동쪽에서 진입해야 한다. 지하철은 3호선을 이용, 안국역에서 내려 인사동길을 따라 10분 정도 걸어가면 된다. 오전 11시반에 문을 열고 밤 11시에 문을 닫는다. 연중무휴. 02―739―5683
〈김진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