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과 신한국당 당직개편 등 여권의 체제정비가 8월초 쯤 이루어질 모양이다. 金泳三(김영삼)대통령이 여름휴가를 마치고 돌아와 단행할 것으로 알려진 이번 개편은 12월 대선을 앞둔 여권의 마지막 진용짜기라는 데 의미가 있다. 대선승리를 염두에 둔 나머지 중립성이 의심받는 내각을 짠다든지 납득하기 어려운 줄세우기나 경선 논공행상식 당직개편이 되지 않도록 인선에 최선을 다할 것을 김대통령에게 당부한다.
이번 내각구성에 무엇보다 신경써야 할 대목은 철저히 정치중립적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여당당적이나 국회의원직을 보유하고 있는 장관을 단순히 경질하는 수준이 아니라 정말로 불편부당하며 깨끗한 선거관리내각을 선보여야 한다. 대선과정에서 대통령과 내각의 중립성이 의심받거나 과거처럼 관권선거 시비가 재연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념할 일이다.
새 내각은 또 선거바람에 흔들림 없이 국정 구석구석을 챙겨 정권말 7개월을 제대로 마무리하는 진용이 돼야 한다. 오직 맡은 직책에 충실해 선거기간 흐트러지기 쉬운 경제와 민생 민심을 추스를 수 있는 실무관리형 인재기용이 필요하다. 그러지 않으면 가뜩이나 어려운 나라살림이 회복불능 상태에 빠질지 모른다.
여당의 당직개편도 원칙을 벗어나서는 곤란하다. 지금 시중에는 李會昌(이회창)후보 만들기에 공이 큰 사람이나 특정지역 득표전략에 유리한 인물을 골라 선거체제를 갖출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당내인사문제에 왈가왈부할 일은 아니나 그런 정략적 인사는 국민을 실망시키기 십상이다. 여당이 정치혁신 등 대승적 차원보다 눈앞의 승리에 집착하는 듯한 인사를 하는 한 깨끗하고 공정한 선거분위기는 기대하기 어렵다.
야권은 오래전부터 공정한 선거관리를 위한 대통령의 탈당과 거국적 중립내각구성을 요구해왔다. 김대통령은 그같은 요구가 더 이상 나올 여지가 없게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여권개편을 해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