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쓰는 선비론/우암 송시열]「禮의 정치」 구현

  • 입력 1997년 12월 13일 08시 15분


17세기 중후반 조선사회는 양란의 후유증을 극복하고 국가재건에 총력을 기울여야하는 국가적 당위에 직면하였다. 양란의 결과 명 청이 교체되어 국제질서가 재편되고 강력한 군사대국인 청나라가 중원의 주인이 되니 그에 대한 대응도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이러한 국가의 위기상황을 타개하고 국민통합을 위한 강력한 국가지도이념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신념과 용기를 가진 인물이 요구되었다.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1607∼1689)은 바로 이같은 조선사회의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한 시대를 이끌어간 대표적인 학자 정치인이었다. 병자호란으로 선양(瀋陽)에 잡혀가 10여년의 인질생활 끝에 귀국한 봉림대군이 왕위에 오르니 효종(재위 1649∼1659)이다. 효종은 국가 비상시국을 당해 재야에서 학문에만 전념하던 산림(山林)들을 대거 정계에 등용하였다. 그 대표적 인물이 효종의 선생이었던 우암 송시열이다. 효종은 그에게 와신상담(臥薪嘗膽)의 뜻을 피력하고 송시열은 1649년 「기축봉사(己丑封事)」를 올려 북벌론(北伐論)과 존주론(尊周論)을 제시, 국가대의로 설정하였다. 북벌론은 병자호란때의 척화론을 계승하며 청을 토벌하여 복수설치(復讐雪恥)하겠다는 것으로, 무력을 이용해 국제사회의 안정을 파괴한 청나라에 심복할 수 없다는 국민정서에 기초하였다. 상처받은 국민적 자부심의 회복을 위하여 제기되어 국민단합의 구심점으로 기능하였다. 존주론은 명이 망한 마당에 주나라로부터 면면히 계승되어온 중화문화(中華文化·인륜을 중시하는 유교문화)의 유일한 담지자는 조선이므로 조선이 주체가 되어 중화문화를 존중 발전시켜야 한다는 논리이다. 이는 후에 조선이 바로 중화라는 조선중화주의로 발전하여 조선문화 수호논리로 전개되었다. 또한 국가간에도 의리를 지켜야한다는 점을 강조하여 임진왜란때 재조지은(再造之恩)을 입은 명나라에 끝까지 의리를 지키겠다는 대명(對明)의리론을 천명하였다. 이는 유교적인 이념을 공통분모로 했던 동아시아 국제사회에서 조선의 명분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청나라와의 대결구도에서 그 입지를 확고히 하기 위한 조치였다. 그는 대내적으로는 예치(禮治)를 표방하여 무너진 사회질서를 회복하고 사회정의를 구현하려 하였다. 예는 법과 도덕의 중간적인 위상으로, 법이 강제성을 갖고 있고 도덕이 인간의 자율성에 기초하고 있음에 비하여 양면을 모두 지니고 있다. 예는 교화의 수단일뿐만 아니라 정치적 명분을 밝히는 장치이므로 예가 정치문제화한 예송(禮訟)이 발생하게 되었던 것이다. 예치라는 기본노선에는 찬성하지만 그 예의 실천기준에 대한 차이 때문이었다. 1659년 효종이 승하하자 일어난 기해예송과 1674년 효종비인 인선왕후 승하 이후 일어난 갑인예송에서 왕실의 복제(服制)문제가 정치화하자 송시열은 서인의 영수로서 남인과 대결하게 되었다. 허목(許穆·1595∼1682)을 위시한 남인정파는 왕실은 특별한 예의 적용을 받아야한다고 주장하며 고례(古禮)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왕권을 강화하려는 입장이었다. 송시열을 비롯한 서인정파의 주장은 세상의 모든 사람은 똑같은 예의 적용을 받아야 하며 그 기준은 「주자가례」에 두어야 한다는 신권(臣權)강화의 입장이었다. 예의 기준이 계층에 따라 다르면 사회통합이 어려워진다는 인식에 근거한 것이었다. 붕당정치의 시대에 붕당간의 이견을 조정하며 예치를 실현해가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일어난 이념논쟁이었다. 그는 민생안정과 국력회복에 중점을 두고 이를 위한 여러가지 대책을 마련하였다. 국용(國用)을 절약하여 재정을 충실히 하고 궁중의 토목공사를 억제하며 군포를 양반에게도 부과하는 호포법을 실시하여 양민의 부담을 줄일 것을 건의하였다. 노비종모법(奴婢從母法)을 시행하여 사노비의 확대를 억제, 양민을 확보하고 서얼을 허통하자는 것 등이다. 이러한 일련의 정책은 이율곡(李栗谷)의 변통론과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호포법은 신분사회인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것이었지만 반대여론으로 무산되었다. 갑인예송에서 서인이 패배하고 남인이 정권을 잡자 인조반정 이후의 연립정권 구도는 깨어지고 이후 환국(換局·정국이 바뀜)이 계속된 17세기말은 붕당정치의 극성기였다. 그 와중에서 1689년 송시열은 82세의 노령으로 사약을 받고 생애를 마감하였다. 세자(경종)책봉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제주도로 유배되었고 다시 서울로 압송되어 오는 도중 정읍에서 사약을 받았던 것이다. 그의 죽음은 제자들에게 신념을 위한 순교로 받아들여졌고 그들에 의하여 18세기 조선문화 전성기를 구가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의 학문은 조광조(趙光祖)의 지치주의(至治主義)이념, 이율곡의 변통론(變通論), 김장생(金長生)의 예학(禮學) 등 조광조 이율곡 김장생으로 이어진 기호학파의 학통을 충실하게 계승한 것이다. 그는 수신(修身)의 기초를 직(直)의 실천에 두었다. 그는 모든 인간생활의 저력은 기상이고 그것은 정직으로써만 길러진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정직은 수양의 덕목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의강인한추진력은정직이라는 무기가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송시열은 17세기 인조 효종 현종 숙종 4대에 걸쳐 사림의 공론인 청의(淸議·사림사회의 여론)를 지지기반으로 하는 산림정치를 통하여 도덕적인 문화국가로 방향타를 잡고 조선이 동아시아의 문화중심국으로 부상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강인한 정신력과 불요불굴의 투지로 조선사회 재건에 앞장선 카리스마적인 인물이며 사약 앞에서도 흔들림없이 소신을 지키며 죽음에 임한 선비의 표상이었다. 정옥자<서울대교수·한국학> ▼약력 △서울대 사학과 졸업 △서울대대학원 박사학위 △저서 「조선후기 문화운동사」 「조선후기 지성사」 「조선후기 역사의 이해」 「역사에세이」 등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